적금은 반드시 달마다 똑같은 금액만 넣어야 되나요?
작년 7월부터 매월 8~10일마다 두 개의 적금 계좌에 같은 금액씩 넣고 있습니다.
그런데 만약 금전적으로 상황이 여의치 않다는 등의 상황으로 인해
똑같이 넣을 수 없는 경우에는
지금껏 넣은 금액보다 낮게 넣을 수는 없나요?
그 달을 건너뛸 수도 없나요?
자고로 자동이체는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는 해당금융사에 상품계약조건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는 불가능한 조건이며 특정상품은 가능하니 해당 금융사에 문의하시는 게 가장 좋을 것 같고요.
저는 예전에 건너뛰기를 한 적이 있는데, 그 때 금액에 대한 이자가 지급이 안됬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적금은 크게 정기적금과 자유적금이 있습니다.
정기적금은 말씀하신대로 계약한 금액을 매번 동일하게 넣어야 하는데요.
반대로 자유적금은 금액도 자유, 넣는 방식도 자유입니다.
즉, 내가 돈 여유가 있을 때는 많이 넣고, 없을 때에는 건너 뛰어도 되는 것입니다.
다만, 자유적금은 정기적금에 비해 이율은 좀 낮은 편이기는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입하신 상품이 정액 적금이라면, 약정 금액보다 적게 넣거나 건너뛰면 패널티(이자 감면 등)가 발생하거나 계약이 해지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유 적금이거나, 은행의 동의를 얻는다면 가능할 수 있습니다.
정기적금의 경우 매달 일정한 금액을 입금해야 하며, 연체 시 만기가 연장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자유적금의 경우 납입액과 납입일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어, 연체에 대한 부담이 적습니다.
은행마다 적금 상품의 종류와 납입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은 가입 금융기관에 문의하는 것이 가장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