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시별의 온도에 대해 궁금해요..
성운이 중력 수축을 통해 온도가 1000K까지 올라가면 비로소 원시별이 되는 건가요? 아니면 그보다 더 높은 온도 혹은 더 낮은 온도에서 원시별이 형성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성운의 밀도가 높고 온도가 낮으면 자체 중력에 의해 수축하여 티끌 입자들이 중심에 모이게 됩니다.
이때 중심부의 밀도가 커지며 크기는 줄어들고 내부의 온도가 상승합니다.
여기서 중심 온도가 1000K 정도가 되고 표면 온도가 3000K 정도에 이르면 빛을 내는데, 이를 원시별이라고 합니다.
즉, 3000K이상 까지는 표면온도가 올라가야 합니다.
감사합니다.원시별이 계속 수축하게 되고, 중심부의 온도가 약 1000만K가 되면 수축을 멈추게 됩니다.
그리고 수소 핵융합이 시작되면서 표면 온도는 태양보다 낮지만, 태양의 수백 배로 빛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