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운동
야구를 잘 알지 못하고 더군다나 규칙은 하나도 모르는데요. 야구 규칙 중에 플라잉아웃 낫아웃이라고 있더라구요. 이것은 어떤 경우에 나오는 것인가요?
야구를 잘 알지 못하고 더군다나 규칙은 하나도 모르는데요. 야구 규칙 중에 플라잉아웃 낫아웃이라고 있더라구요. 이것은 어떤 경우에 나오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플라이아웃은 타자가 친 공이 땅이 닿지 않았을때 수비수가 잡으면 아웃이 되는 것을 의미하고 낫아웃은 2스트라이크 이후에 투수가 던진 공을 타자가 휘둘렀을때 포수의 포구가 안된 경우 1루로 뛸 수 있습니다.
플라이 아웃은 보통 수비선수가 공이 땅에닿지 않고 바로 잡는경우를 말하고 낫아웃은 투스트라이크 이후 타자가 휘둘렀을때 포수가 잡지 못하거나 땅볼이 됐을경우 아웃이 아니여서 1루로 뛸수있는경우를 말합니다
야구에서 플라잉아웃 낫아웃에 대해서 물어보는 질문입니다. 이에 대해서 대답을 드리겠습니다. 우선 둘은 붙여서 쓰는 것이 아니라 다른 것입니다 .
플라잉 아웃은 공을 치고 공이 높게 떠서 바로 잡으면 아웃입니다. 뜬 공이라고 합니다.
낫아웃은 좀 어려운데 투수가 공을 스트라이크 존에 3개를 넣으면 타자는 아웃이 됩니다. 그런데 마지막 공 1개를 포수가 실수로 못 잡았다면 어떻게 될까요? 이때 부르는 명칭이 스트라이크 아웃 낫아웃입니다. 이때 타자는 1루로 달리면 됩니다.
플라잉아웃 낫아웃이라는 용어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스크라이크아웃 낫아웃은 있으며 인필드플라이라는 용어는 존재합니다.
어떤 게 중금한거지는 다시 질문을 하셔야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