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투자는 선취수수료 있는 펀드를 투자하는 것이 좋나요?
같은 펀드의 시리즈를 보면 어떤 펀드는 선취수수료가 있고 어떤 펀드는 없습니다. 선취수수료 있는 펀드의 보수가 조금 더 저렴하던데, 장기투자할 때는 선취수수료 있는 펀드를 투자하는 것이 좋나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장기 투자는 선취수수료 있는 펀드 투자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선취수수료가 있는 펀드의 수수료율이
낮은 편이라면 그것을 선택하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장기투자는 선취수수료가 있는 펀드보다 최대한 장기투자 마감시에 수수료를 내는 펀드가 좋습니다. 이러한 내용은 약관에 있으니 확인 후 거래를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선취수수료의 경우는 초기 비용만 발생하고, 추가 비용이 없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보면 누적 비용이 낮을 수 있습니다.
또한, 선취 수수료가 있는 경우 운용 보수가 낮아 장기 투자시에 유리할 수 있습니다.
선취수수료가 있는 펀드의 경우 단기보다 장기 투자 펀드에 유리 하니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장기 투자 시에는 선취수수료(Front-end Load) 있는 펀드가 더 유리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선취수수료가 있는 펀드는 가입 시 일정 비율의 수수료를 먼저 지불하지만, 대신 연간 운용보수(Expense Ratio)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반면, 선취수수료가 없는 펀드는 가입 시 비용 부담이 없지만, 운용보수가 조금 더 높아 매년 지속적으로 비용이 발생합니다.
장기적으로 투자할 경우, 초기 비용(선취수수료)을 한 번 내더라도 장기간 운용보수가 낮은 펀드가 비용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0년 이상 투자할 경우 선취수수료를 낸 펀드가 결과적으로 더 적은 비용을 부담할 가능성이 큽니다.
그러나 투자 기간이 짧다면 선취수수료 없는 펀드가 유리할 수도 있습니다. 짧은 기간 동안 투자할 경우 선취수수료 부담이 크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운용보수가 조금 더 높은 펀드가 총비용 측면에서 나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투자자가 수시로 환매할 가능성이 있다면 선취수수료 없는 펀드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 선취수수료가 있는 펀드는 환매 시 별도의 비용 부담은 없지만, 이미 낸 선취수수료를 돌려받을 수 없기 때문에 유동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장기투자(10년 이상)를 계획하고 있고, 중간에 환매할 가능성이 적다면 선취수수료가 있는 펀드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투자 기간이 짧거나 자금의 유동성이 필요한 경우라면 선취수수료 없는 펀드가 적절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선취수수료가 아무래도 처음부터 수수료 제외하고 투자금이 산정이 되니 초기투자금 자체가 줄어드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 선취수수료 펀드가 수수료가 후취수수료 보다는 싸겠죠
투자자 성향따라 틀리겠지만 단기투자건 장기투자건 저라면 일단 초기 투자금이 줄어들어서 선취보다는 후취수수료로 가입할거 같기는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1년 미만의 단기투자에서는 후취형(보통 ‘원금+수익’에 연 1% 안팎의 판매보수를 적용해 매일 조금씩 떼가는 형태)이 유리하지만, 투자기간이 2~3년으로 늘어나면 선취수수료는 한번 내면 그만이지만 후취수수료는 매년 계속 그만큼의 비율로 지급해야하기 때문에 투자자에게 불리합니다. 때문에 선취수수료로 선택하시는 게 유리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장기투자에는 초기 투자금에서 바로 선취금으로 수수료가 발생하는 펀드가 더 유리합니다 초기에 바로 수수료를 선취하하게 되니 일반 보수 유지 수수료가 있는것보다 상대적으로 더 이점이 있고 오히려 선취로 바로 현금흐름 유출되는 펀드이기 때문에 장기투자시에 더 적합한 방식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장기투자는 보수 절감이 중요하므로, 총 비용을 비교헀을 때 선취수수료가 있는 펀드의 장기 보수가 낮다면 유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