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안과 이미지
안과의료상담
안과 이미지
안과의료상담
늠름한
늠름한24.02.01

광시증에 어떻게 대처해야하나요?

나이
19
성별
여성
기저질환
비염

한달전 비문증으로 인해 받은 망막 검사에는 이상이 없었는데 최근 들어 광시증이 생긴 것 같습니다. 눈을 감았을 때 번쩍거리는 빛이 시야 주변부에서 보입니다. 안과를 가봐야될까요?

만약 망막에 이상이 없는거라면 그냥 놔둬도 상관없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맞습니다. 광시증은 다른 증상이 없다면 지켜 보면 됩니다.

    근시가 있는경우 유리체의 액화로 인하여 망막을 때리게 되면 빛이 번쩍이는 증상이 생길수 가 있습니다.

    다른 이상이 없다면 지켜보세요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광시증은 망막과 유리체의 연결 부분이 분리되어 망막을 압박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눈앞에 작은 전기 스파크처럼 반짝이거나 섬광이 일어나는 증상을 나타냅니다. 이 증상은 망막과 유리체의 분리 과정에서 발생하며, 어두운 환경에서 특히 눈을 감았을 때 더 두드러집니다. 때로는 형광등이 갑자기 켜진 것처럼 보이거나 사진기 플래시가 터진 것 같은 섬광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고 몇 주 또는 몇 개월 동안 지속될 수도 있습니다.

    광시증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이는 노화, 고도근시, 눈에 대한 둔상 등 생리학적인 요인으로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망막 박리, 망막 열공, 유리체 출혈, 포도막염과 같은 병적인 상태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광시증이 발생한 경우에는 반드시 안과 전문의의 진단과 검사를 받아야 하며, 원인 질환에 따른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