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정직한낙타9
정직한낙타924.02.02

주식에서pbr이라는 단어의 개념을 알기 쉽게 설명 부탁드려요

주식에서pbr이라는 단어의 개념을 알기 쉽게 설명 부탁드려요

많이 들어봐서 대략적인 개념만 아는데데좀 더 알기 쉽게 설명 부탁드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어떤 기업의 시가총액 = 주식가격 * 총 주식 갯수

    어떤 기업의 자산 : 기업이 가지고있는 모든 것을 팔았을때 가격

    그 기업의 시가총액을 보유자산 가격으로 나눈것으로 1보다 작을경우 회사의 가치가 회사가 보유한 자산 가치보다도 적은것을 의미함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BR라고 하는 것은 주가와 1주당 순자산을 비교하여 나타낸 비율로서, PBR이 1이라는 것은 주가와 기업의 1주당 순자산이 동일하다는 의미이며, PBR수치가 낮을수록 해당 기업의 자산가치보다 주식의 가격이 낮아서 증시에서는 저평가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기업이 보유한 자산가치 대비 현재 시가총액의 비율을 말합니다.

    • 이 비율이 1 미만이라면 현재 주식을 시가총액 전부를 주고 인수하여 보유한 자산만 매각하여도

      이득을 볼 수 있다는 개념으로 기업의 영업가치는 전혀 반영이 안된 상황을 말합니다.

    • 즉 심각한 기업 저평가 상태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가순자산비율이란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로 나눈 값으로, 주식투자의 기초지표 중하나입니다. 어느 기업의 주가가 1만 원이고, 주당순자산가치가 2만 원이라면 PBR은 0.5입니다. 만약 증권시장에서 거래되는 기업의 총주식이 1주라고 하면 1만 원으로 거래되는 주식 전체를 사서 기업의 주인이 된 뒤 기업을 청산할 경우 최소 2만 원을 받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BR(Price to Book Ratio : 주가순자산비율)은 주가를 주당순자산으로 나눈것입니다.

    만약 주가순자산비율이 1 이라면 주가가 순자산의 1 배로 팔린다는 뜻이고, 주가순자산비율이 100 이라면 주가가 순자산의 100 배로 팔린다는 의미입니다.

    주식시장에서 주가수익비율을 이용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주가순자산비율이 0.7 이하면 매수를 적극적으로 고려해 보라고 합니다. 즉, 주가가 주당순자산에 비하여 낮게 평가되고 있다면 매수를 적극 고려해 보라고 합니다. 그리고 주가순자산비율이 0.7 - 1.5 사이라면 다른 지표와 비교하면서 매수를 고려해 볼 만 합니다. 하지만 주가순자산비율이 1.5 이상이면 조심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하지만 위에서 말한 내용에 따라 무조건 주식을 매입해서는 안됩니다. 전체적인 그림을 보고 다른 지표까지 고려하면서 매입해야 해야 되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