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i, ppi 지표 Mom,yoy보는 이유와 방법이 뭔가요?
Cpi나 pce 전년, 전월
둘다 확인 하는 이유가
전년에서 전체적인 추세 확인
전월에서 작은 추세 변화 체크
하기위해 보는건가요?
예를 들면
이번 5월의 pce 값이 6월28일. 어제 발표된걸로 아는데 mom은 0.1% , yoy는 2.6%가 나왔습니다
그럼 yoy=1년전. 23년 5월 대비 2.6% 상승했다는 말이고
Mom= 전월인 24년 4월 대비 5월의 값이0.1% 상승 했다 라고 해석하면 될까요?
그렇게 해석할시 yoy 2.6%로 24년 5월31일에 발표된 4월 값인 2.8%보다 상승률이 낮아짐으로 전체적인 추세에서는 물가가 둔화. 즉 잡히고 있고,
Mom 0.1%는 24년 5월 31일에 발표된 4월의 값인 0.2보다 상승률이 낮아짐으로 지표가 하회.
총 결론 전년,전월대비 상승률은 둘다 하락 됨으로 물가가 싸지고 있다는걸로 봐도 될까요?
만약 맞다면 근원 cpi나 pce가 식품, 에너지 제외한 값인걸로 아는데 끼치는 영향도 궁금합니다 소중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ㅠ
그리고 인플레이션율은 cpi로 계산하는 거라고 들었는데 전년대비로 보는건지 뭔지 궁금하네요 전년대비로 본다면 근원도 포함해서 보는건지.... 너무 어렵게썼는데 거듭 죄송하고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간단히 말씀 드리자면 CPI, PCE 지표 등의 경우 매달 증감(MOM), 작년 동년 대비(YOY)로 비교하는 이유는 매달 얼마나 해당 지표가 변화 하는지 확인하여 향후 추세를 예측하는데 사용하고 작년 동기간 대비 증감의 경우 해당 지표가 연간 특정 시기별로 다를 수 있어 동일 시기를 비교하기 위함입니다.
가령, 7~8월은 휴가 시즌이라 휘발류 소비가 많고 10~1월은 연말 소비지출이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CPI이든 PPI 이든 위와 같은 수치들을 전년, 전월과 비교하는 것은 말 그대로 추세 등을 확인하기 위하여 비교하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