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우람한카구257
우람한카구257

코로나3차예약백신종류문의드립니다

수고하십니다

1,2차 모더나백신 접종하 여 3개월이지나접종예약하였는데 3차예약시는 백신 종류가 지정되지 않았고 화이자또는모더나 로 되어있든데백신종류 관계없이 접종하여도 되는 건가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여러 번 접종을 시행하는 백신의 경우 1차 접종 만으로도 일정 비율 이상 항체가 생기지만 항체가 면역반응을 나타내기에 부족한 정도이거나 지속기간이 짧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권장된 접종 (얀센은 1차 접종, 그 이외의 백신은 2차 접종) 이후의 접종은 부스터의 개념으로 항체를 보다 충분히 하고 지속기간을 길게 유지하기 위해 접종합니다. 따라서 백신접종은 예방효과와 지속효과를 유지하기 위해 권장된 횟수와 간격을 지켜 접종하시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현재 접종 중인 코로나19 백신의 경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항체가가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며 변이 바이러스에 의해 면역 효과 감소도 보고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일부 국가에서는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접종완료 후 추가접종 (일명 부스터샷)을 시행하였으며 해외 연구에서 추가 접종에 따른 안정성에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속속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를 근거로 국내 예방접종전문위원회에서는 기본접종 (얀센은 1회, 나머지 백신은 2회)을 완료한지 추가접종을 시행할 것을 권고하였습니다. 최근 국내 코로나19 감염사례를 보면 부스터샷까지 접종 완료한 경우는 전체 확진자의 0.017%로 매우 낮았습니다.

    가장 먼저 3차접종을 시행한 이스라엘의 연구*를 보면 3차접종을 한 사람은 2차접종만 마친 사람에 비해 감염 예방효과가 11배, 위중증 예방효과가 20배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한 바 있으며, 국내 사례에서도 접종 미완료자와 비교하여 추가 접종 완료자의 경우 사망을 포함한 중증 진행 위험이 91.5% 낮았으며, 2차 접종 완료자와 비교하였을 때도 60대 이상 연령층에서 사망포함 중증 진행 위험이 92.2~100% 낮게 나타났습니다.   영국의 연구에서도 화이자 3차접종 후 아스트라제네카 접종군에서 델타변이 94%, 오미크론변이 71%, 화이자 접종군에서 델타변이 93%, 오미크론변이 76%로 감염예방효과가 커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기본적으로 1,2차 접종과 동일한 백신으로 1회 접종하며 화이자 백신은 기본 접종 용량과 동일하게 접종하고, 모더나 백신은 추가접종시 절반 용량만을 사용합니다. 1,2차 접종시 모더나 백신으로 접종하셨다면 추가 접종시에도 동일한 모더나 백신으로 접종하시게 됩니다.

    추가 접종은 한 차례 계획되어 있으나, 면역 지속기간이 1년 미만으로 짧을 경우 인플루엔자 (독감) 백신처럼 매해 접종해야 할 수도 있고 장기 면역원성이 확인될 경우 한 차례 부스터 샷 접종 후 추가 접종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새롭게 개편된 추가접종 가이드라인에서는 만 18세 이상 모든 성인은 접종 완료 후 3개월 부터 추가접종이 가능하며 얀센 백신을 접종하였거나 면역억제 치료를 받는 등 면역억제자의 경우 접종완료 2개월 후부터 추가접종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예방접종 후 시간 경과에 따라 백신효과가 감소하여 방역패스에 대한 유효기간이 6개월 (추가접종 간격인 5개월 + 유예기간 1개월)을 설정하여, 방역패스를 유지하려면 접종간격 내 추가접종에 참여해야 하며 1월 3일부터 시행 예정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윤 소아과의사입니다.

    1,2차 모더나 접종하였던 경우에는 3차로 화이자 혹은 모더나 모두 접종 가능합니다. 어느 것이든 가능하니 너무 걱정 말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안중구 의사입니다.

    3차백신 또는 부스터샷은 1차 2차 접종으로 형성된 면역을 더 길게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하므로 동일백신으로 접종하는것이 해당 접종목적에 부합하고 예기치 못한 부작용의 빈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입니다. 모더나 접종을 권유드리며 잔여백신 예약을 통해 원하는 백신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영 의사입니다.

    부스터샷도 교차접종에 문제가 없습니다.

    현재 부스터샷(3차 이상의 추가적 백신)은 필수가 아니며 접종 간격이나 접종 종류 역시 정해진 것이 없습니다.

    며칠 전 정은경 질본청장이 부스터샷을 맞는 기사도 나왔지만 원하는 사람에게만 부스터샷을 접종하고 있습니다.

    질문자분의 선택에 따르시면 되며 3차 백신이 1,2차보다 부작용이 심할지 덜할지는 아직까지 밝혀진 바가 많지 않습니다.

    현재까지는 우리나라에서 백신 2차 접종자에 대하여 부스터샷(3차 백신)은 필수가 아닙니다.

    12월 초부터 의료계 종사자나 군인 등에 한해서 부스터샷 접종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부스터샷의 종류나 선택가능 여부는 접종 당일 접종지에서 문의하시면 의료진이 상세하게 안내 해 드릴 것입니다.

    추후 정부가 안내하는 가이드라인에 따라 결정하시면 될 것이며 접종 시기 또한 그에 따르시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중 의사입니다.

    백신선택은 원칙적으로 불가능하며 화이자-화이자 접종자는 화이자로, 모더나-모더나는 모더나로 접종 가능합니다. AZ-AZ는 모더나, 얀센도 모더나를 맞아야 하지만, 잔여백신을 예약한 경우는 변경 가능합니다.

    또한, 부스터샷 접종 원칙에는 크게 세가지 원칙이 있습니다. 

    ① mRNA 백신(화이자 또는 모더나)을 활용하며, ②가급적 동일백신으로, ③백신 종류가 2종을 초과하지 않도록 

    따라서 3차 백신은 1,2차와 동일한 모더나 백신으로 접종하는 것이 합리적이나, 경우에 따라 화이자 백신도 가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아직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들에 대하여 완전한 연구 및 통계가 이루어지지 않아 교차접종이 확실히 효과가 있다거나 100% 안전하다는 이야기는 드리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백신을 개발 할 때 개발하는 제약 회사에서 교차 접종을 염두고 두고 개발하지 않았기 때문에 가능하면 동일한 백신을 재차 접종 받는 것이 가장 안전할 것이긴 합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추세를 보았을 때 치명적 부작용이 생기는 확률은 높지 않으며, 항체 형성 또한 어느 정도 되고 있기 때문에 아쉬운대로 교차접종을 하여도 괜찮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부스터샷을 통한 교차접종은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화이자 접종자는 화이자로, 모더나 접종자는 모더나로 부스터샷 시행하며 아스트라제네카 교차 접종자는 모더나 백신으로 부스터샷이 가능합니다. 만일 20대라면 심근염의 위험성때문에 화이자로 접종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가급적이면 같은종류인 모더나로 맞으시길 권유드립니다.

    현재 백신 접종 후 시간이 지나면서 항체 농도가 낮아져 부스터샷을 시작했습니다.

    면역저하자는 마지막 접종 후 2개월 뒤부터, 나머지 연령대는 3개월 뒤부터 접종이 가능합니다.

    부스터샷은 의무는 아니고 개인의 선택입니다.

    이상반응은 2차때와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난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효과는 델타에 90% 오미크론에 70%정도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사회적 활동이 많은 분들은 맞는 것이 좋겠습니다. 새롭게 발표된바에 따르면 6개월마다 접종을 해야 백신패스를 적용받을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

    코로나 백신 추가접종의 경우, 모더나와 화이자백신 두가지를 사용하며 정부 지침 상 "3차접종은 2차접종 백신 종류와 관계없이 mRNA 백신으로 접종하고 가급적 동일 백신으로, 접종 백신 종류가 2종을 초과하지 않도록 시행" 한다고 공지하고 있습니다. 즉 질문자 분은 모더나로 접종하시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겠으나 화이자를 접종하셔도 2종을 초과하는 것은 아니기에 지침 상 문제되실 것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모더나로 기본 접종을 하셨다면 부스터 샷은 모더나로 맞는 것이 기본입니다. 만약 30세 이하라면 모더나 접종이 어렵기 때문에 화이자로 맞을 가능성도 있구요. 미국은 교차 접종이 허용된 상태이나 국내에서는 허용되지 않은 상태라서 임의로 교차 접종을 할 수는 없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