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천지개벽
천지개벽20.01.03

가장 안전한 얼음두께는 몇cm 인가요?

전국각지에서 겨울이면 강이나 저수지에서 크고 작은 축제가 많이들 열리는데 가장 안전한 얼음두께는 과연, 몇cm 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얼음은 무게를 무한정 견뎌줄 수 있는 튼튼한 판이 아닙니다. 육안으로 그 상태를 가늠하기도 어렵기 때문에 얼음위에 오를 때는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기온이 영하권으로 내려가면 호수에 서서히 결빙이 시작됩니다.

    얼음을 타기에 안전한 두께는 10cm지만, 같은 두께여도 결빙기인지 해빙기인지에 따라,

    또 빙질의 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완전히 마음을 놓아서는 안됩니다.

    참고로,

    얼음의 상태를 가장 쉽게 알아보는 방법은 소리를 들어보는 것입니다.

    얼음을 두드렸을 때 단단한 소리가 나면 안심해도 좋습니다. 해빙기의 얼음에서는 단단한 소리가 나지 않고 빙질이 무른 느낌을 줍니다.

    얼음 파편도 푸석푸석한 편입니다. 이런 빙질에서는 아무리 얼음의 두께가 두꺼워 보여도 한 번쯤 의심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또 수초나 갈대 등이 있는 지역, 다른 물이 유입되는 부분, 수면이 육지 쪽으로 들어간 골자리, 나무 언저리, 수심이 깊은 곳 등은 살얼음이 형성되는 곳이기에 사고 위험이 높습니다.

    [일부발체 :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7354307&memberNo=1891127&searchKeyword=%EC%A3%BC%ED%96%89%EA%B1%B0%EB%A6%AC%EB%A1%9C%20%EC%95%8C%EC%95%84%EB%B3%B4%EB%8A%94&searchRank=4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