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성형외과

쌈박한오릭스46
쌈박한오릭스46

친구가 살이 너무 쪄서 위 절재 수술을 고민중인데요. 안위험할까요??

성별
남성
나이대
37

친구가 베트남에서 일을하는데요. 건설현장 관리하는데요. 여기서 90KG정도 였는데 요번에 한국왔는데,,,120KG이라고하드라고요. 그래서 친구가 살이 너무 쪄서 위 절재 수술을 고민중인데요. 안위험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진호성 의사입니다.

      고도비만수술 혹은 대사수술은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BMI(체질량지수) 35㎏/㎡ 이상 초고도비만 환자와 고혈압·당뇨병 등의 합병증을 동반한 30㎏/㎡ 이상 고도비만 환자는 위절제술이 좋은 방법입니다. 전문센터를 방문하셔서 각각의 수술 방법의 장기 결과에 대해 충분히 설명을 듣고 수술을 진행하셨으면 합니다. 위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과 신체변화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위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1) 장폐쇄

      복부 수술 이후에 장 유착이 생기게 되며 심한 경우, 장이 부분적으로 좁아지거나 막혀서, 배속에 가스가 차고 복부팽만을 느낄수 있으며, 심한 복통과 함께 토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증상이 생기는 경우에는 병원에 내원하여야 합니다. 치료는 금식을 하고 비위관을 삽입하여 장의 압력을 낮추면 대개 증상이 호전됩니다. 하지만 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2) 출혈

      수술 후 복강 내 혹은 위장관 내부에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피곤함, 어지러움 등의 증상은 빈혈의 증상일 수 있으니, 병원에 내원하여 확인이 필요합니다. 이런 경우 철분이 많은 살코기, 철분제를 복용합니다. 증상이 심하거나 출혈 양이 많은 경우 수혈을 시행하여 치료합니다.

      3) 문합 부위의 누출

      위 절제후 문합 부위의 누출이 생기는 경우, 복강내 감염이 생기고 2차적인 다른 합병증의 위험도 또한 높아지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가 꼭 필요한 합병증입니다. 치료는 장시간 금식하여 저절로 막힐 수 있도록 하며, 그 동안 영양을 정맥내 주사하고, 고여있는 체액을 배출시키고, 항생제를 사용하는 등의 보존적 치료를 시행합니다. 보존적인 방법으로 치료가 되지 않는 경우 재수술을 고려해야 합니다.

      4) 절개부위 감염

      복벽의 수술 상처부위를 말합니다. 수술 중 출혈이 되지 않던 상처 부위의 작은 혈관이 수술 후 재출혈을 일으키면 혈종이 생길 수 있고, 지방이 괴사되어 녹거나 림프액이 고여 장액종이 생길 수 있습니다. 창상을 열어 고인 피나 장액을 제거합니다.

      위 수술 후 신체 변화

      1) 소화불량, 설사, 가스, 복부 팽만감

      지사제를 복용해도 조절되지 않는 경우 병원에 내원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하며, 유제품이나 지방이 많이 함유된 음식은 피하셔야 합니다. 복부를 따뜻하게 해주고 가볍게 걷는 운동으로 장 운동을 도와주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2) 빈혈

      철 결핍성 빈혈은 위산감소, 십이지장 우회로 철분의 흡수 장애, 철분의 불충분한 섭취로 인해 발생하며, 치료는 철분 제제를 지속적으로 투여 합니다. 비타민 B12 결핍으로 인한 빈혈은 특히 위전절제한 경우 비타민 B12 흡수에 필요한 내인자를 생성하지 못해 비타민 B12의 결핍으로 발생하며, 치료는 비타민 B12 를 주사하거나 약을 복용합니다.

      3) 영양 부족 (체중증가 실패, 체중감소)

      위수술 후 1~2개월까지 약10% 정도의 체중감소가 있을 수 있습니다. 대부분 3개월부터는 그 상태를 유지하거나 조금씩 체중이 증가합니다. 음식은 골고루 조금씩 자주 섭취하고, 필요시 영양제 주사나 영양 보충 음료를 선택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4) 덤핑증후군

      덤핑 증후군은 위 절제 수술을 받은 후 음식이 소장으로 빨리 내려가서 생기게 되는 증상입니다. 식후 30분 이내에 오심, 구토, 어지러움, 식은땀, 두근거림 등입니다. 이런 증상이 있으면, 편안한 자세로 앉아 증상이 없어질 때까지 기다립니다. 예방을 위해 천천히 식사를 해야 하며 물, 국 등은 많은 양을 한꺼번에 섭취하지 않아야 합니다. 식후 1~2시간에 생기는 후기 덤핑의 증상은 저혈당으로 인한 것으로 손발 떨림, 식은땀, 어지러움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증상이 있는 경우 소량의 당분이 있는 간식을 섭취하면 서서히 나아집니다. 예방하기 위해서는 조금씩 천천히 여러 번에 나누어 먹고, 탄수화물이나 당분이 많이 포함된 설탕, 꿀, 아이스크림 등을 주의 하며, 식사 전, 후 30분 이내에 많은 양의 수분을 섭취하지 않도록 합니다.

      5) 위염과 식도염

      담즙이나 장 내용물이 역류하여 발생하며, 속쓰림, 메스꺼움, 명치부위의 통증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방을 위해 식사 직후 눕지 않고, 자기 2시간 전에는 먹지 않아야 합니다. 증상이 심할 경우 위벽 보호제나 담즙 중화제와 같은 약물 치료를 합니다.

      6) 대사골질환

      칼슘 농도 불균형, 칼슘의 경구 섭취 감소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이러한 경우 칼슘 함유 음식 섭취하거나 칼슘제를 복용합니다.

      7) 담석증

      위 절제 수술 시행 시 위 주위의 미주신경은 모두 절단이 됩니다. 이로 인하여 담낭의 운동 능력이 떨어져 담석증이 생기는 비율이 높습니다. 무증상의 담석증은 대부분 다른 치료가 필요하지 않지만 담낭염을 동반한 경우 담낭절제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