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검붉은코브라279
검붉은코브라279

조선시대 관리는 봉급을 어떻식으로 받았나요?

조선시대 관청등에서 일하는 지방관리들은 봉급을 어떤식으로 받았나요? 엽전으로 받았나요? 쌀같은 물건으로 받았나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관리들은 녹봉이라는 이름으로 월급을 받았습니다. 녹봉은 고정적으로 지급되는 녹과 특수한 경우 지급되는 봉이 합쳐진 말로, 신라 신문왕 때부터 시행되었습니다.

      조선시대 녹봉은 조선경국전에 정도전이 왕에게 지어 바친 법전으로 알 수 있으며, 1품부터 9품까지 18과로 나누어 지급하되, 삼사에서 녹패를 분급해 광흥창에서 지급하도록 했습니다. 초기에는 1년에 2번 지급이었으나 세종대왕 재위 기간 중에 각 계절의 첫달인 1월에 지급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고 합니다.

      녹봉은 쌀과 콩 등의 실물 자산으로 지급되었으며, 관직에 따라 다르게 지급되었습니다. 그러나 임진왜란 이후 국가 재정이 어려워지면서 점차 감소 추세를 보였으며, 숙종 17년에는 삼남 지방에 기근이 들었을 때 모든 관원들의 월급을 줄여 쌀 1석에서 좁쌀로 지급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1894년 갑오개혁에서 조선 왕조 500년간의 관료제도가 변경되며 월급제도 또한 개혁을 이루었고, 종래의 녹봉제를 폐지하고 개정된 품계에 따라 월급을 지급했습니다. 이로써 조선시대의 녹봉 제도는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관리들은 녹봉제라는 제도를 통해 봉급을 받았습니다. 녹봉제는 관리들에게 일정한 양의 쌀, 보리, 콩 등의 곡물을 지급하는 제도였습니다. 녹봉제는 매년 봄과 가을에 지급되었으며, 관리의 등급에 따라 지급되는 양이 달랐습니다. 또한, 관리들은 녹봉 외에도 다양한 수당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출장을 갈 때는 교통비와 숙박비 등을 지원받을 수 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 관료들은

      보통 녹봉으로 받았고

      이는 쌀과 콩 등 실물자산으로

      지급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관료들이 월급 대신 녹봉 (祿俸)을 받았는데 녹봉은 쌀과 콩 등 실물 자산으로 지급되는 제도였습니다. 고려시대에 녹봉이 일반화되고, 조선시대 초에는 18과로 구분되었습니다. 삼사 (三司)에서 녹봉을 분급하여 광흥창에서 지급되었다고 합니다. 가장 높은 1호봉 녹봉인 정승들과 왕의 아들인 대군들은 연간 쌀 100석과 옷감 32필 이였고 가장 말단 18호봉은 쌀 14석과 옷감 4필 이였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관리들은 녹봉을 받았습니다. 최하 관직인 종9품의 경우 월급으로 쌀 2석과 콩 1석을 받았습니다. 당시 쌀 1석은 현재의 3-4배의 가치가 있으며 따라서 현재의 통화로 환원하면 9품 관리의 월급은 12만원 정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