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 온도 0도 기준은 어떻게 정했나요?
길이 단위 M는 원기라는게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기준 길이를 정하고 비교해서 만들수 있는 거죠. 그럼 온도는 뭘 기준으로 0도를 정하고 영하 영상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온도는 물의 끓는점과 녹는점을 기준으로 합니다.
섭씨 온도는 물을 1기압 조건에서 끓일 때의 온도를 100도
얼릴 때의 온도를 0도로 정하고
그 사이를 100등분하여 만든 단위입니다.
섭씨 0도는 물의 녹는점과 끓는점의 중간 지점입니다.
영하 영상은 섭씨 0도보다 낮은 온도를 말합니다.
물의 녹는점보다 낮은 온도를 의미합니다.
영하 1도는 물의 녹는점보다 1도 낮은 온도입니다.
물의 끓는점과 녹는점을 기준으로 온도를 정의한 이유는
물은 지구상에서 가장 흔하고
안정적인 물질이기 때문입니다.
물은 끓는점과 녹는점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온도를 측정하기 쉽습니다.
물 이외에도 다른 물질을
기준으로 온도를 정의하기도 합니다.
화씨 온도는 물의 끓는점과
얼음의 녹는점을 기준으로 정의하지만
섭씨 온도와는 다른 기준을 사용합니다.
화씨 0도는 물의 얼음의
녹는점보다 32도 낮은 온도이고
화씨 100도는 물의 끓는점보다 212도 낮은 온도입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최초의 온도 0도 기준은 물의 어는점을 기준으로 정해졌습니다. 17세기, 프랑스의 물리학자 르네 데카르트는 물의 어는점을 0도로 설정하여 온도계를 만들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온도의 기준은 섭씨와 화씨두 가지가 주로 사용됩니다.
섭씨는 0℃를 물의 어는 점으로, 100℃를 물의 끓는 점으로 정한 것입니다. 이는 스웨덴의 천문학자 안데르스 셀시우스가 제안한 체계로,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화씨는 32℉를 물의 어는 점, 212℉를 물의 끓는 점으로 정한 것입니다. 이는 독일 태생의 물리학자 다니엘 가브리엘 화씨가 제안한 체계로, 주로 미국에서 사용됩니다.
또한, 영하 온도도 존재합니다. 영하 온도는 물의 어는 점인 0℃ 또는 32℉보다 낮은 온도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10℃는 영하 10도, 14℉는 영하 10도로 표현됩니다.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길이 단위 M는 원기라는게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원기는 기준 길이를 정하고 비교해서 만들 수 있는 단위입니다. 예를 들어 1M는 기준 길이의 1배를 의미합니다. 이와 비슷하게 온도 역시 기준을 정하고 비교하는 단위입니다. 온도의 기준은 물의 끓는 점과 얼음의 녹는 점을 이용하여 정했습니다. 물의 끓는 점은 100도 얼음의 녹는 점은 0도로 정했습니다. 이렇게 정한 기준을 섭씨 온도라고 합니다.
최초 온도 0도 기준은 18세기에 스웨덴의 천문학자인 안데르스 셀리우스가 제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 이전에는 다양한 기준이 있었지만 셀리우스의 제안이 가장 널리 받아들여졌고 현재까지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정한 기준은 지구의 평균 기온을 기준으로 하여 정했습니다.
따라서 온도 역시 길이와 마찬가지로 기준을 정하고 비교하는 단위이며 최초 기준은 셀리우스의 제안을 따른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1742년 스웨덴의 천문학자 안데르스 셀시우스가 제안한 것으로 물이 어는 점과 끓는점을 100으로 나눈값을 0으로 해서 정해진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섭씨나 화씨의 경우 모두 물의 어는점이나 끓는점을 기준으로 설정되어있고, 절대영도의 경우 분자의 진동이 제로가 되는시점을 역으로 계산한 이론 값입니다.안녕하세요. 서수용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단 온도는 주요하게 절대온도와 섭씨온도가 있습니다. 절대온도는 열역학에서 기준이 되는 온도로 열에너지가 없어서 분자운동이 일어나지 않는 온도를 말합니다. 섭씨온도는 물의 어느점과 끊는점을 이용하여 0~100도의 온도를 100등분한 온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