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산부인과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

폐경 검사를 해보니 앞으로 2-3년 생리를 더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런 경우 근종재발 가능성은 얼마나 되나요?

성별
여성
나이대
48

저는 다행히 이번에 회복이 더딘 개복수술을 했지만 자궁 안에 있는 근종을 싹 다 제거한 케이스입니다.

폐경검사를 해보니 2-3년 정도 생리가 가능할 수 있다고 합니다. 호르몬 수치가 떨어지는 상황인데 그래도 근종이 재발할 가능성이 있나요? 폐경이 될때까지 몇 %의 근종 재발 가능성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자궁근종은 호르몬에 크게 영향을 받는 질환입니다. 에스트로겐과 같은 여성 호르몬은 보통 근종의 성장을 자극하는데, 폐경이 가까워지면서 호르몬 수치가 감소하면 일반적으로 근종의 성장도 멈추거나 사이즈가 줄어드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폐경이 가까워지면서 근종이 새로 생기거나 재발할 확률은 비교적 낮아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근종의 재발 가능성은 많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개인의 건강 상태, 가족력, 그리고 이전 근종의 수와 크기 등이 모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평균적으로 근종 수술 후에 다시 생리 기간 동안 근종이 재발할 확률은 약 10-30% 정도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개인마다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수치는 말씀드리기 어렵습니다.

    근종이 재발할지 여부는 계속해서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관찰해야 합니다. 지속적인 건강 관리를 통해 변화가 생길 경우 빨리 대응할 수 있도록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폐경까지 2~3년 남은 48세 여성이라고하셨습니다.

    정확한 수치는 개인차가 크기 때문에, 개복 근종절제술 후 자궁 내 근종 완전 제거 시 근종 재발 가능성은 통계적으로 추정을 해볼 수 있겠습니다.

    2~3년 내 누적 재발률은 5년 누적(50~60%)보다는 낮을 것으로 추정 예상할 수 있습니다. 특히 증상성 근종 재발 가능성은 더 낮겠습니다. 폐경 후에는 근종 재발 위험은 매우 낮아집니다.

    따라서, 현재 상황에서는 근종이 재발할 가능성이 완전히 없지는 않지만, 폐경이 임박했고 근종을 완전히 제거한 경우라면 재발 위험은 낮은 편입니다.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정기적인 추적 관찰만으로도 충분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