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꼬꼬무 프로그램을 보면은 일부러 반말을 합니다 우리나라도 특히 존댓말이 강한데요 외국처럼 존댓말이 이렇게 강하지 않다면 경제에 어떤 보탬이 될

꼬꼬무 프로그램을 보면은 일부러 반말을 합니다 우리나라도 특히 존댓말이 강한데요 외국처럼 존댓말이 이렇게 강하지 않다면 경제에 어떤 보탬이 될까요

히딩크감독때도 반말 평등 이것이 성과가 있었다고 하던데요 축구할떄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이대길 경제전문가
    이대길 경제전문가
    메리츠화재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이 군사 독재정권이 오래 되었고 그 당시부터 살아왔고 군대 문화를 경험한 사람들이 사회에서도 강력한 수직 문화를 주장하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수직 문화는 젊은 사람들에게 창의적인 의견을들을 수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존댓말이 강한 문화가 경제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면, 직장 내 위계질서를 강화하고 소통에 장애를 줄 수 있습니다. 반면, 평등한 대화 방식이 경제적인 효율성을 높이고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협업을 촉진할 수 있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 저는 예전에 어떤 경제 프로에서 자기의 노후 준비를 위해 선배 후배들과 사석에서 반말 타임을 가질 때가 있다고 하는 걸 들었습니다. 그분이 꽤나 인지도 있고 사회적 지위가 있는 분인데도 불구하고 미래에는 나이를 먹고 자기보다 나이가 어린 사람들 밑에서 일해야 하는 경우가 많이 생길 것이라고 그렇게 준비를 한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 존댓말 문화가 없어지면 자연스럽게 그런 문화가 형성되어서 선후배 역전 현상에 이질감이 덜 할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