펭귄 같은 경우는 아주 추운지방에서도 새끼를 낳는데 그렇게 추워도 새끼가 살수 있는이유가 있을까요?
펭귄은 남극에서 아주 추운지방에서 살고 있는데요
아무래도 큰 펭귄은 그래도 견딜수 잇을것 같은데 새끼들은 얼어 죽을수도 있는데
새끼를 잘 낳고 살수 잇는 이유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펭귄은 두꺼운 지방층의 신체구조를 갖고있어 체온유지가 잘되고, 새끼들은 이러한 성체펭귄들에 둘러쌓여 체온이 유지되도록 보호받습니다.
특히 성체의 품속으로들어가 추위를 피하며 자라게됩니다.
감사합니다.
펭귄의 깃털은 매우 촘촘할 뿐만 아니라 기름기가 많아 찬 공기가 몸속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아줍니다.
또한 펭귄의 몸에는 두꺼운 지방층이 있어 마치 담요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이 지방층은 추운 환경에서 에너지를 저장하고, 체온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죠.
특히 많은 펭귄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체온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행동으로 허들링이라 합니다. 서로 몸을 맞대고 있으면 체열 손실을 줄이고, 따뜻함을 유지할 수 있는 것입니다.
특히 수컷 펭귄은 발 위에 알을 올려놓고 품습니다. 발에는 혈관이 많이 분포되어 있어 알을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죠.
안녕하세요.
펭귄은 지구상에서 가장 춥고 혹독한 얼음땅인 남극에 살면서도 동상 한 번 걸리지 않는데요, 펭귄이 동상에 걸리지 않는 추위를 이겨내는 비결은 다음과 같습니다. 펭귄은 혹독한 자연환경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신체조건을 갖추기 위해 끊임 없이 진화해왔는데요, 그 진화의 결과가 뒤뚱뒤뚱 걷는 오늘날의 귀여운 펭귄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펭귄은 극지방의 차가운 물속에 들어가 사냥하고, 육지에서 새끼를 키우는데 몸에 묻은 수분이 증발하는 과정에서 체온이 내려가게 됩니다. 이를 막아주는 것이 펭귄의 깃털입니다. 펭귄의 깃털은 다른 새들의 깃털과 달리 좌우의 크기가 같고, 깃털 안에 솜털이 2중막으로 빽빽하게 들어차 있습니다. 이는 잠수복과 같은 원리로 빈공간을 없애 물이 펭귄의 피부로 스며들지 않도록 막아줍니다. 깃털에는 작은 공기구멍들도 있고, 특수한 기름도 흐릅니다. 물과 섞이지 않는 소수성이어서 물과 닿아도 밀어냅니다. 펭귄의 신체 부위에서 이 깃털이 덮여있지 않은 부위가 발입니다. 발은 직접 빙하에 닿는 부위여서 동상이 걸리기 쉽지만 펭귄에게 동상은 어울리지 않습니다. 펭귄의 발은 '원더네트(wonder net)'라는 특수한 구조로 돼 있습니다. 일반 조류의 발은 동맥과 정맥의 길이 구분돼 있지만 펭귄의 원더네트 구조는 동맥과 정맥이 서로 꼬아진 형태의 모세혈관 다발로 이뤄져 있습니다. 빙하와 닿아 차가워진 펭귄의 피(정맥)가 몸속을 순환하는 따뜻한 피(동맥)와 서로 붙어있어 열을 서로 교환함으로써 열 손실을 줄이는 것입니다. 차가운 발의 피는 얼지 않게 적당히 따뜻해지고, 몸속의 따뜻한 피는 적당히 식혀져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적절한 체온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펭귄이 추운 남극에서도 새끼를 안전하게 키울 수 있는 이유는 부모 펭귄의 특유의 보온 방식 덕분입니다. 성체 펭귄은 두꺼운 지방층과 밀도 높은 깃털로 보온성을 극대화하고, 특히 황제펭귄처럼 엄청난 추위에 사는 종은 새끼를 품 안에 넣어 체온으로 보호합니다. 새끼가 추위에 노출되지 않도록 아빠 펭귄이 두 다리 위에 올리고 주머니처럼 생긴 피부 주름으로 감싸 온도를 유지하며, 이 기간 동안 어미는 먹이를 구하러 떠나고 아빠는 며칠 동안 먹지 않고 새끼를 보호합니다. 또한, 펭귄들은 무리 지어 서식하며 서로의 체온을 나누는 ‘허들링’으로 추위를 극복하는데, 이는 새끼에게도 온기를 제공하여 극한 환경에서도 생존하게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펭권들은 깃털이 미세한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물이 스며들지 않습니다. 또한, 무수한 모세혈관 다발로 된 원더네트로 추위를 이깁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실제로 펭귄이 살고있는 남극은 영하60도까지도 내려가는 지구상에서 가장추운곳입니다.
이곳에서는 펭귄이 다양한 생존전략을 이용합니다.
우선 서로모여있으면서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가장바깥에있던 개체들이 가운데쪽으로 서서히 이동하며 열을 다시공급받고 다시 바깥쪽으로이동하는 등 사회적인 약속을 만들어 서로를 보호해줍니다.
또한 다른개체의 새끼들도 서로보호하고품어주며 종족전체의 생존률을 높이려고합니다.
이러한방식으로 펭귄은 남극에서 살아남을 수 있습니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