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단호한백로62
단호한백로6224.02.26

채권은 왜 안전하다고 하는 것인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채권에 투자하면은 안전하다고 하는데 왜 안전한지가 궁금해요 채권은 원금손실 가능성이 아예 없어서 예금이랑 비슷한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채권과 같은 경우에는 발행처인 국가나 기업이 망하지 않는 이상 원금과 이자를 수령할 수 있어서 안전자산인 것이며 만기보유하지 않고 중간에 시장에서 매도시 원금손실 가능성은 있긴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예금은 대부분 예금자보호법에 의해 원리금 5,000만원에 대해서까지 보호를 받습니다.

    채권은 이에 해당하지는 않으나 기업 혹은 국가가 망하지 않는 이상 꾸준한 현금흐름을 창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국가 혹은 규모가 큰 기업이 망하는 일은 IMF 등의 특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흔치 않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채권이 안전하다는 건 주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격변동이 심하지 않아 안전하다는 겁니다.

    채권 발행 회사가 망하지 않는 한 원금 보전은 물론, 일정 이자가 지급되니까 주식처럼 투기의 요소가 많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채권은 실제로 특정한 보호가 이루어지는 상품은 아니기 때문에 완전 안전자산이라고 보기는 힘들지만 만기까지 보유를 하게 되는 경우 일정수준의 수익을 보장받기 때문에 안전자산으로 분류가 되요. 하지만 채권을 발행한 회사 혹은 국가가 부도가 나는 경우에는 원금 손실의 발생이 가능한 상품이라는 것을 유의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채권이 모두 안전하다는 것은 오해입니다.

    • 채권이라는 것은 돈을 빌려준 증서를 말하며 이 증서를 보유하고 있으면 대출의

      원금과 이자를 받을 수 있게 됩니다.

    • 따라서 채권을 발행한 주체가 탄탄한 주체인지 판단할 필요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채권도 100% 안전하진않지만(기업이 파산하면 부실채권됌) 채권가가 오르면 팔면되고, 아님면 만기에 정해진 원금에 이자를 주기때문에 안전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채권의 안정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채권은 발행 주체가 되는 국가, 지방자치단체, 특수 법인 혹은 주식회사들이기 때문에

    채무 이행의 안정성이 매우 높은 편입니다.

    단, 100% 안전하다곤 할 순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채권은 원금손실의 가능성은 없으나, 채권을 발행한 주체의 상태 여부에 따라서 원금을 모두 잃을 가능성이 없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국채는 국가가 발행을 하게 되는데 국가가 부도나지 않는 이상 큰 문제가 없을 것이므로 안전자산이라고 보통 이야기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채권은 일반적으로 정부나 기업이 발행하는 채무증서로, 발행자가 상환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투자 수단으로 여겨집니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원금손실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채권의 대표로 말하는게 주로 국채인데, 나라가 망할일이 없다는 가정하에 나오는 말인 것 같습니다. 채권도 금리에 따라 가격이 오르고 내리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고채권의 경우 만기보유시 원금보장이 되고 표면금리에 따른 이자가 나오죠 안전성은 국가신용등급이니 나라망하지 않은이상 원금지급보장이 되니 안전하다고 하는거같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