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출 또는 측방탈구로 의심이 되는데...어떻게 ?
안녕하세요~
아랫니로 식사중 나무젓가락을 씹어서 아랫니 윗부분이 바깥으로 제껴진 경우입니다.
반대쪽인 안쪽 잇몸에서 피가 났으며, 잇몸 부분에 볼록하게 표시가 나는것 같습니다.
자료를 찾다보니, 정출이나 측방탈구로 생각되는데, 치과를 세군데 방문하였으나, 정출이나 측방탈구 진단을 내리는 곳은 없더군요.
세군데 치과중에서, 2군데는 임플란트, 1군데는 브릿지 이야기만 장황하게 늘어놓는 통에 갈피를 못잡겠습니다. ㅎㅎㅎ
뽑아야 한다 2군데, 그나마 1군데는 며칠 지켜보자고 하시더군요.
1군데에서는 골절같다,,, 1군데는 경험상 골절이 의심될수도 있다. 1군데는 치아가 절반 정도 나온 상태이기 때문에 뽑아야한다는 말씀.
이미 4일이 경과되었으며, 자고 일어나면 치아가 약간은 고정된 것처럼 느껴지나, 일상 생활이 시작되면 또다시 흔들림이 있습니다.
치아 고정을 해야 그나마 빠르게 아물것 같은데, 현재는 잇몸 통증도 많이 없어졌습니다.
꼭 뽑아야 하는 과정일까요?
서울아*병원 김모 선생님 자료를 보니까, 2주정도 고정하고 신경치료를 시행할 수 도 있다는 내용이 있던데,,,,,
처음에는 치아 자리를 잡아주니 고정이 되는 느낌이나, 지금은 자리를 못잡고 처음보다 더 헐렁하게 흔들리고 있습니다.
톡톡 건드려보면 옆치아와 부딪혀서 덜그덕 소리도 나고 흔들림이 많이 심한것 같습니다.
나무가 뿌리채 흔들리는 것 같은 기분인데, 나무를 꼭 뿌리채 뽑아야 하는 겁니까?
치아 깁스 즉 스플린트인가 뭔가 해주는 곳이 없단 말입니까?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말씀하신 것을 종합해보았을 때는 정출 및 부분탈구가 의심되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경우에 정출 및 부분탈구는 병명이며 치료가 임플란트나 신경치료가 되는 것입니다. 다만 단순히 치아가 측방으로 탈구되거나 부분 탈구 되었을 때, 통증이나 불편감이 없는 범위 내에서 재위치를 시킨다음에 와이어로 고정해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와이어를 고정하더라도 신경이 괴사했을 가능성이 크고 신경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현재 상태에서는 치조골이나 주변 잇몸 조직의 손상 정도도 평가해야 하며 다시 재 위치 할 수 없다면 발치 이후 임플란트나 브릿지를 하는 것이 맞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안녕하세요. 장인아 치과위생사입니다.
치과 마다, 담당 의사 선생님 마다 진단, 치료의 차이는 있을수 있습니다.
외상에 의해 치아가 흔들릴 경우 인접 치아와 스플린트하여 고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치아가 정출될경우 교정으로 함입 시키거나 신경치료후 보철물을 씌워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건강하세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치과의사입니다.
해당 부분은 치과마다 치료방법이 다를수있어 보이며 뽑아야하는 상황같으나 살려보고 싶으시면 대학병원의 보존과에서 교수님들의 진료를 보시는것이 좋아보입니다. 최대한 살려보시고 안되면 발치하시는게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입니다.
측방탈구라고 해도 증상이 심하면 일단 증상을 지켜보셔야됩니다. 그리고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발치를 신경치료를 하셔야될수도 잇고, 상태가 심각하면 발치를 하셔야될 가능성이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