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냉철한메뚜기235
냉철한메뚜기235

해외 코인 상장 조건들이 매우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코린이입니다.

상장만 기다리고 코인을 많이 많이 사고 있습니다.

해외 코인 상장 조건들이 매우 궁금합니다.

전문가님들의 상세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해외 거래소의 경우 각 거래소마다 나름의 상장 규정을 가지고 있기는 합니다. (하지만 어떤 기준으로 상장을 하는 지는 외부적으로 공개되는 경우는 드물며 대략적으로 공지를 하는 정도 입니다)

    최근에 상장 되는 케이스를 보면 밈코인이 많이 상장 되는데 아무래도 유동성을 많이 확보하여 상장 시 거래소에 득이 되는 코인들을 많이 상장을 하는 것 같습니다.

    공식적으로는 코인의 펀드멘탈, 커뮤니티 성숙도, 유통량 등 여러가지 기준을 검토하여 적합할 경우 상장을 한다고는 하네요. ㅎㅎ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들이 상장이 되려고 하면 기술력과 시장성이 있어야 합니다.

    탁월한 기술력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지 검토하고 시장 수요가 있는지도 파악을 해야 합니다.

    또한 이 코인이 지속적으로 수익이 창출될 수 있는지도 파악을 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법적인 문제는 없는지 규제 안에 들어와 있는지를 파악하게 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코인들 상장 조건에 대한 내용입니다.

    코인 상장은 아직도 거래소 마음대로입니다.

    그렇기에 정확한 규정을 알기는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상장조건은 거래소마다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그렇기에 정해진 것은 아니며

    프로젝트, 투명성, 발행주체 등

    여러가지를 고려하여서 결정하게 되니

    참고하세요.

  • 여기 답변에서 아주 자세히 쓸수는 없음을 이해바랍니다.

    해당국가의 코인관련 법령을 준수해야합니다.

    자금세탁방지 규정과 고객신원확인 절차 등이 보편적인 제한입니다.

    안정적인 블록체인 기술이 기반이어야하고, 기술백서도 있어야 하고, 스마트계약 사용하는 경우 코드의 안정성등도 거증되어야합니다.

    그외에 시장요건,재무요건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해외 가상자산 거래소의 상장 조건은 거래소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몇 가지 공통된 기준이 있습니다. 프로젝트의 투명성과 신뢰성이 중요한 요소로, 백서의 명확성, 개발팀의 전문성, 그리고 프로젝트의 실현 가능성 등이 평가됩니다. 또한 기술적 안정성과 보안성도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법적 준수 여부도 핵심 요소입니다. 각국의 규제를 준수하고 있는지, 자금세탁 방지 정책을 갖추고 있는지 등이 검토됩니다. 일부 거래소에서는 상장 수수료를 요구하기도 하며, 이는 거래소의 정책에 따라 다릅니다.

    시장성과 유동성도 중요한 고려 사항입니다. 코인의 거래량, 시가총액, 그리고 투자자들의 관심도 등이 평가됩니다. 일부 대형 거래소에서는 커뮤니티의 활성화 정도나 소셜 미디어 영향력도 고려합니다. 상장 후에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기준 충족 여부를 확인하며, 문제가 발생할 경우 상장 폐지도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해외코인 상장 조건은 주로 프로젝트 신뢰성 , 역량, 기술력, 유동성, 등을 평가해 결정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얘기 나오는거 들어보니까 코인베이스에 상장된걸 업비트에서 많이 데리고 오는거같더라고요. 이번에 스캠코인도 그렇고.. 그리고 그걸 또 빗썸이 따라서 원상시키는 구조가 많이 보입니다. 코인베이스쪽 잘 구경하시면 크게 한방 먹여줄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