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감기이후로 멍울이생겼는데 전체적인증상은없지만 3cm멍울이있어요..혹시계속 비대되는경우가있나요?
제가 목감기이후 멍울이생겼는데2.6cm정도됩니다
다른증상은없구요..혹시근데 이게비대된상태가 계속유지되는경우가있나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반응성 림프절염일 가능성이 높고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반응성 림프절염은 경부 림프절염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주로 목감기 증상과 함께 나타나거나 감기 이후에 발생하는데, 가끔 감기 증상 없이 림프절 부종만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반응성 림프절염은 양측성으로 나타나며, 어린이나 청소년에서 더 흔하게 발생합니다.
반응성 림프절염은 주로 바이러스나 세균 감염과 관련되어 발생합니다. 그러나 원인 병원체를 정확하게 확인하기는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반응성 림프절염의 증상만으로는 조직구 괴사성 림프절염이나 결핵성 림프절염과 구별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목이나 치아 통증이나 입안의 병변과 함께 림프절 부종이 나타나는 경우, 반응성 림프절염의 가능성이 높을 수 있습니다. 또한 양측성이거나 여러 개의 림프절이 동시에 부어있을 때도 반응성 림프절염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응성 림프절염은 비특이적인 림프절염으로, 대부분의 경우 조직 검사가 필요하지 않고 자연적으로 회복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림프절염이라 추정되는데, 한 번 부어오른 림프절은 서서히 작아지는 편입니다. 그러나 더 커지는 것 같고 붉어지거나 부어오르는 등의 염증반응을 보인다면 진료가 필요하니 이비인후과를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목 부위에 멍울이 만져지는 경우 대부분 림프절 비대입니다. 림프절은 염증이나 감염이 있을 때 커지는데, 대개는 원인 질환이 치료되면 저절로 크기가 줄어듭니다.
그러나 드물게는 비대된 림프절이 계속 유지되거나 점차 커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다음과 같은 질환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만성 감염: 결핵, 톡소플라스마증 등 만성 감염질환에 의해 림프절 비대가 지속될 수 있습니다.
자가면역 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루푸스 등 자가면역 질환에서 림프절 비대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악성 질환: 림프종, 백혈병, 전이성 암 등 드물지만 악성 질환의 가능성도 있습니다.
증상이 지속되거나 림프절이 계속 커진다면 추가 검사가 필요합니다. 의사는 신체 진찰, 혈액 검사, 영상 검사(초음파, CT 등), 림프절 조직 검사 등을 통해 정확한 원인을 찾을 수 있습니다.
림프절 비대가 오래 지속되거나 다른 증상을 동반한다면 ENT 전문의나 혈액종양내과 전문의와 상담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증상을 관리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