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위대한오징어92
위대한오징어9224.02.03

소리가 들리는 원리랑 진공상태에서 소리가 들리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소리는 공기의 진동으로 귀에 들리는 것 이라고 알고 있는데요

혹시 공기가 아예 없는 진공 상태의 공간에서는

소리가 전혀 들리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또 공기의 진동이 어떻게 귀까지 도달하여

우리가 아는 소리로 들리는건지도 답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리는 공기 분자의 진동에 의해 전달됩니다. 소리가 발생하면, 물체가 진동하며 주변 공기 분자를 진동시킵니다. 이 진동은 공기 분자를 통해 다음 공기 분자로 전달되고, 이렇게 진동이 전달되면서 소리가 전달됩니다. 진공 상태에는 공기 분자가 없기 때문에 소리가 전달될 수 없습니다. 진동이 전달될 매질이 없기 때문에, 소리가 발생하더라도 우리 귀에 도달하지 못하고 사라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리는 공기의 진동으로 인해 귀에 들리는 것이 맞습니다. 그렇지 않습니다. 사실 진공 상태에서도 소리는 들리는데요 그 이유는 공기가 없어도 다른 물질이나 물체가 진동하면 소리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우주에서는 공기가 없지만 별들이나 행성들이 진동하면 소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공기 분자들이 진동을 전파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공기 분자들은 서로 밀도가 다르기 때문에 진동이 전파될 때 밀도가 높은 곳과 낮은 곳을 번갈아가며 이동하게 됩니다. 이렇게 전파된 진동이 귀에 도달하면 귀 속의 공기 분자들도 같은 방식으로 진동하게 되어 우리가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진공 상태에서 소리가 들리는 이유는 공기가 없어도 다른 물질이나 물체가 진동하면 소리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공기가 없는 진공 상태에서는 소리가 전파되는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에 우리가 일상적으로 듣는 소리보다는 훨씬 더 낮은 주파수의 소리만 들을 수 있습니다.

    소리가 들리는 원리와 진공 상태에서도 소리가 들리는 이유에 대해 설명드렸는데요.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리는 물체가 진동할 때 발생하며, 이 진동이 공기와 같은 매질을 통해 전달됩니다.

    이 진동은 공기 분자를 앞뒤로 움직이게 하여 음파를 생성하고 음파는 공기를 통해 귀에 도달하요 귀의 고막을 진동시킵니다.

    고막의 진동은 가운데귀의 세 개의 작은 뼈를 통해 증폭되어 내이로 전달, 진동은 청각 신경을 자극하여 뇌로 전달되고, 뇌에서는 이 정보를 소리로 해석합니다.

    하지만, 진공 상태에서는 소리가 전달되지 않습니다.

    앞서 말씀드린대로 소리는 매질을 통해 전달되는 파동이기 때문에, 매질이 없는 진공 상태에서는 소리가 전달될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리는 공기와 같은 매질을 통해

    전파되는 진동입니다.

    공기가 전혀 없는 진공

    상태에서는 소리가 전혀

    들리지 않습니다.

    소리는 공기 분자들이

    서로 부딪히며 진동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이동하는데 진공 상태에서는

    매질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소리가

    전파될 수 없습니다.

    소리는 물체의 진동으로 시작됩니다.

    기타 줄을 튕기면 줄이 진동하며

    주변 공기를 진동시킵니다.

    진동하는 물체는 주변의 공기 분자들을

    진동시키며 이 진동은 파동 형태로

    주변으로 전파됩니다.

    이렇게 해서 소리 파동이 발생합니다.

    소리 파동은 공기 중을 이동하며

    우리 귀까지 도달합니다.

    귀의 외이도를 통해 들어온 소리 파동은

    고막을 진동시킵니다.

    고막의 진동은 중이의 세

    개의 작은 뼈를

    통해 내이의 달팽이관으로

    전달됩니다.

    달팽이관 내부의 유체가

    진동하며 이 진동은

    달팽이관의 미세한

    털 세포들을 자극합니다.

    털 세포들의 자극은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청각 신경을 통해 뇌로 전송됩니다.

    뇌는 이 신호를 해석하여 우리가 인지하는

    소리가 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