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망고마더77
망고마더7723.10.20

귀에 끼는 이어폰은 어떤 원리로 소리를 만들고 귀에 전달하는 걸까요?

이어폰으로 음악을 듣다 보니 문득 이런 이어폰은 어떻게 소리를 전자에서 만들고 우리귀에 음악이든 소리를 만들어 주는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어폰의 경우 전기로 된 신호를 생성 및 전달하여 소리로 변환시켜 인간의 귀로 전달하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유선은 이어폰의 전선을 따라 전기 신호가 전달되고, 무선의 경우 전기 신호가 블루투스 등을 통해 전달되어 동일하게 소리로 변환 및 전달되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선 또는 유선 이어폰은 전기적인 신호로 진동을 만들어 냅니다. 이 진동으로 소리르 만들어내어 음악 또는 말소리를 전달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장 먼저 전자기기에 이어폰을 꽂으면 케이블을 통해 전류가 흐르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이어폰은 코일과 자석을 이용해서 전류와 진동을 만들어 내고 이후 앰프에서 증폭된 전자신호를 진동신호로 바꾸어 미세한 진동을 흘려보내 귀에서 소리가 들리게끔하는 원리입니다.

    마지막으로 이 진동은 이어폰을 착용한 사람의 머리뼈나 턱뼈와 같은 뼈에 전달되고 전파된 진동을 소리로 인지하여 느께게 되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어폰은 크게 두 가지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하나는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하는 스피커이고, 다른 하나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입니다. 스피커는 진동판과 자석으로 구성됩니다. 전기 신호가 스피커에 들어오면, 진동판이 자석의 영향을 받아 진동합니다. 이 진동이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를 만들어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전기 신호 변환: 음원이 재생되면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작은 전자 소자인 스피커에 전기적 신호가 전달됩니다.

    2. 진동과 소리 발생: 전기 신호가 스피커에 전달되면, 스피커의 전자석이 전기 신호에 따라 진동하게 됩니다. 이 진동은 스피커의 다이어프램을 움직여 소리를 발생시킵니다.

    3. 소리의 증폭과 조절: 스피커 내부에는 소리의 크기와 톤을 조절하기 위한 회로가 있습니다. 이 회로는 전기 신호를 증폭하고, 소리의 빈도와 음량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소리를 얻을 수 있도록 합니다.

    4. 귀로의 전달: 스피커에서 발생한 소리는 이어폰의 소리 출력부분에 위치한 작은 구멍을 통해 귀 속으로 전달됩니다. 귀 삼각파트나 이어팁과 같은 부속품은 이어폰을 귀에 더 잘 맞추고 외부 소리의 차단을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어폰에는 진동판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것은 전기가 흐르면 떨리게 되어 있습니다.

    전기의 세기로 진동판 떨리는 정도의 차이로 소리로 변환되어 들리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코일과 자석을 이용해서 진동을 만들어냅니다.

    자석주위에 자기장이 있어요. 이때 코일을통해 전류가 흐릅니다. 자기장사이로 전류가 흐르면 한향으로 힘이 발생해요.


    플레밍의 왼손법칙입니다. 이때, 전류의 방향이 바뀌면 이에 따라 힘도 바뀌고 진동이 생기게 됩니다.

    이렇게 일으킨 진동이 우리 귓속에 들어오게 되면

    소리나 음악을 들을수 있게 되는거에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