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스는 왜 이렇게 이벤트를 많이 하는지 궁금 합니다.
그래도 다른 은행보다 인터넷 뱅킹인 토스 뱅크 같은경우는 생각보다 여러가지 이벤트를 많이 해서
어떻게 보면 많이 짭짤한데요. 왜 이렇게 많이 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토스가 이벤트를 많이 하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바로 토스가 이벤트를 많이 함으로써
더 많은 소비자들 손님들을
유치하려고 그렇게 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토스는 1금융권 중 가장 후발 주자이며 카카오뱅크처럼 고객층 확보를 탄탄하게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고객층을 끌어모으기 위해서 많은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조한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그만큼 광고나 협업이 많이 들어온다는 뜻입니다.
앱테크도 요즘 많이 하시는데 이것 역시 토스나 카뱅 등 대형 플랫폼에 아무래도 광고 금액 집행이 많이 들어올 겁니다.
마니 하니까 소비자 입장에선 좋네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토스는 금융 플랫폼으로서 사용자 수를 늘리고, 사용자들이 앱을 꾸준히 이용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벤트를 통해 신규 사용자를 유치하고, 기존 사용자들의 참여를 유도하여 앱 활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특히, 토스는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했는데, 이들은 재미있고 참여를 유도하는 이벤트를 통해 높은 호응을 얻을 수 있습니다. 토스는 간편 송금뿐만 아니라 증권, 보험, 뱅킹 등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벤트를 통해 이러한 서비스들을 사용자들에게 자연스럽게 소개하고, 이용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이벤트 참여를 통해 사용자들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사용자들의 선호도와 행동 패턴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는 향후 서비스 개선 및 마케팅 전략 수립에 활용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토스는 그렇게 이벤트로 비용을 사용하더라도 충분한 마케팅으로 이용자를 늘려서 오히려 더 큰 수익을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에 이벤트를 지속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토스는 이벤트를 통해서 입소문을 많이 나게 하고 이런 이벤트를 유인책으로 삼아 앱을 깔고 회원 가입을 하도록 유도합니다. 인터넷 뱅킹의 특성상 지점이 없다보니 부대 비용을 많이 아낄수 있어서 이런 이벤트에 비용을 쓰는 것이 가능합니다.
기업이 이벤트 같은 것을 하는 이유는 하나입니다.
고객유치.
기존 고객이라면 잡아두기 위한 목적이고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고객이라면 신규로 가입하게 하기 위해서 하는것입니다.
고객이 앱에 머무는 시간이 길수록 자사의 유료 서비스를 이용할 가능성도 높아집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토스가 이벤트를 많이 하는 이유는 결국 고객 유치를 하고 유치한 고객이 토스 뱅크를 더 많이 이용하게 하면 회사 가치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토스뱅크는 아직 상장 전이고 향후 상장을 준비하는 과정에 있는 인터넷 은행입니다
고객이 많으면 많을수록 많은 고객이 거래를 많이 하면 할수록 기업가치는 높아지는거죠 그래서 막대한 비용을 들여서라도 이벤트를 꾸준히 계속하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오프라인 지점이 아닌 인터넷 뱅크이다 보니 상대적으로 비용(인건비, 임대료 등)이 적게 나가서 이벤트를 할 가용자원이 많은 상황입니다.
토스의 경우 다른 시중은행과 다르게 오프라인 지점을 운영하지 않기 때문에 여기서 발생하는 비용을 크게 세이브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비용을 아껴 오히려 마케팅에 사용하는 것으로 보시면 편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