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겨울철 눈이 내리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겨울에는 뭐니뭐니해도 새하얀 눈이 내리는걸 좋아합니다. 화이트 크리스마스도 기대되고요.

그런 눈이 내리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박조훈 전문가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대기중의 수증기가 차가운 온도에서 얼어붙는 눈결정을 형성하게 되면서 눈 결정이 지상으로 떨어지면 우리가 알고 있는 눈이 되지요!대기중의 수증기가 구름 ㅗㅅㄱ에서 미세한 먼지, 소금알갱이 등 작은 입자(응결핵)주위에 응결하여 물방울이 형성되고 이 물방울이 매우 차가운 고도에서 어는점 이하로 냉각되지만 응결핵이 없으면 바로 얼지 않고 과냉각 상태로 존재하게 됩니다! 구름속에서 온도가 약 -12~-18도이하로 내려가게 되면 수증기가 과냉각 상태의 물방울이나 얼음 입자에 달라붙어 눈 결정을 형성하게 되는데 눈 결정이 육각형 구조를 가지며 물 분자의 화학적 특성에 의해 나타나게 되는데 이러한 눈 결정이 주변 수증기를 흡수하고 점점 커지면서 무거워지게되면 주엵에 의해 구름에서 떨어지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이때 기온이 낮으면 눈으로 그대로 내려오고 기온이 상승하면 비가 되는것이죠~ 우리는 이것을 빙정설 이라고 이야기합니다! 눈이 내리기 위해선 충분한 수증기를 가지고 있으며 구름속의 온도가 -12도이하여야 하며따뜻하고 습한 공기와 차가운 공기가 지속적으로 만나게 된다면 눈이 내리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