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당신에게행운이가득하길~
당신에게행운이가득하길~

40-50대는 나라에서 각종 혜택이 적은 이유는 무엇때문인가요?

우리나라 정책발표 할때마다 조금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있습니다. 저출산으로 신혼 부부들에게 많은 혜택을 주는건 이해를 합니다. 그리고 청년 실업이 심각하다고 해서 청년 일자리등과 저축 등 각종 혜택을 많이 주는 것또한 이해 합니다. 그런데 자식들을 키우고 나이가 들어가는 40대에서 50대들에게는 거의 혜택이 없습니다.

아이들이 중학교 고등학교 들어 가면서 키우는 돈이 얼마나 많이 들어 가는지 모르시나요? 고등학생 아이 둘이 있는 집에 한달 기본으로 들어가는 돈이 어마어마 합니다.그런데 우리 나라는 젊은 층에게는 혜택을 많이 주고 정작 힘들어 죽을것 같은 40-50대는 왜? 관심이 없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40-50대들의 경우에는 어느정도 경제적 자립과 성숙기에 접어든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에 대한 지원이 자산 형성을 시작해야 하는 20대에 비해서 적은 것이라고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 경제는 정치에 의해 정해집니다. 현정부는 예전부터 보편적복지를 반대하던 이념의 당입니다

    반대로 전 정권같은 경우는 보편적복지를 합니다, 전부 의료혜택지원받고,

    전 가구당 지원금을 줬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취약계층으로 보이는 (4050대는 어느정도 자리를 잡았으니) 청년과 노인에게

    두텁게 준다는 것이죠, 한정된 재원을 전부주면 지원이 작다 이겁니다

    세수가 펑크가 났다고 합니다. 더욱 더 한정적으로 줄수밖에 없습니다

    이미 의료지원비용이나 연구비용 삭감한거는 유명하죠

  • ✅️ 사실상 대한민국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청년층이 아이를 낳아줘야 합니다. 그런데 40-50의 경우 이미 자녀의 나이가 20-30인 경우가 많죠. 즉, 이들 20-30을 지원하는 게 40-50의 자녀를 지원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불만도 어느정도는 상쇄가 되고(자기 자녀 세대 지원하는 것이므로) 그렇다고 40-50까지 모두 지원해 주기에는 세금 등 재원이 부족하기 때문에 관심이 없다기 보다는 결국 40-50까지 지원해 줄만한 '돈'이 없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 아무래도 40대와 50대들이 우리나라에서 비교적 경제적으로 자리를 잡힌 상태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렇기에 아무래도 40대 50대에 대한 지원 등이 적은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 관심이 없다기 보다는 40~50대의 지원이 상대적으로 인색한 이유는 청년이 중장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경제적인 기반이 적기 때문에 지원이 몰려 있습니다.

    • 또한 40~50대에 지원이 끊기고 노령인구가 되면 다시 경제적인 지원이 나오는 구조로 되어있고 청년중에도

      경제적으로 어려운 계층에 지원이 몰려있는 선택적인 복지를 우리나라에서 선택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구조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질문자님 질문에 적극 공감합니다. 정확한 이유는 저도 알수 없으나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단순 통계만 보고 생각하는 정치인들때문으로 풀이 됩니다.

    통계상으로는 평균적으로 가장 소득이 많은 구간이니깐요. 인풋보다 아웃풋이 많은건 왜 생각을 못하는건지....

  • 질문하신 40-50대에 나라의 혜택이 제일 적은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반적으로 40대에서 50대는 그 나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세대입니다.

    기업에서도 이미 어느 정도 지위에 오른 상태이고

    소득 역시도 제일 많이 볼 수 있는 기간이기에 청년층이나 노년층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나라에서 받는 혜택이 적은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