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외채권으로 미국채를 샀을 때 현재환율시점으로 어떨까요?
장외채권으로 미국채를 샀을 때 현재환율시점으로 어떨까요?
잔존일수 약 200일 정도의 국채일 경우 채권이 끝나는시점에 환율에 따라 수익률이 달라질까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채권의 이자율과 당시의 환율에 따라서
당연히 수익율이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환율의 향방을 잘 공부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채권이다 보니 달러 표시의 채권으로 200일정도가 잔존하였다면 환율의 변동에 따라서 환차익 혹은 차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수익률이 달라질 가능성이 높아요
안녕하세요. 임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융 관련 지표 중에 가장 예측하기도 어렵고 대응하기도 난해한 것이 환율이라고 합니다. 그러다 보니 외화표시 자산에 투자하는 것은 포트폴리오적으로 접근할 수 밖에 없습니다. 대부분 우리나라에서 원화로 사용할 돈(부동산 매입 등)이기 때문입니다.
사실 달러가 비싼 이유는 미국 내 거래되는 채권, 예금의 금리가 높기 때문입니다. 만약에 역외거래가 자유롭다면 우리나라에 예금하지 않고 미국에 예금하면 더 높은 금리를 얻을 수 있다보니 달러 수요가 촉발되겠지요.
아무튼! 현재 환율시점은 다소 높은 수준이라고 보는 것이 맞습니다. 금리 수준이 안정되면, 대부분 전문가들은 내년까지도 미국의 고금리 정책은 유효할 것으로 보고 25년은 되어야 안정세를 찾을 것 같다고 합니다. 즉, 25년 이후부터는 강달러가 아닌 일반적인 상황이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1,100~1,200대)
가령 1,350원에 2년 만기 미국채를 투자하면 세전 수익률은 약 10%가 되겠지요. 그런데 만기 시점에 원/달러가 1,200원이라면 오히려 원화투자수익률은 손실입니다.
따라서 만기가 1년 이내로 남은 미국채권을 사는 편이 조금 나을 것 같고, 아니면 만기를 늘려 10년짜리를 투자하되, 달러가격이 보존되거나 더 높은 수준에 있을 때 중도 매도하는 방법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미국에 매년 5%로 투자한다. 이것을 10년간 유지한다. 이런 전략이 오히려 나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