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피곤한 곰
피곤한 곰
25.04.13

어지러움과 관련하여 도움이 필요합니다…

나이
22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신경과약
기저질환
미주신경성실신, 편두통성 어지러움

안녕하세요. 20대 초반 여자입니다.

어렸을 때부터 바닥이 경사져 보이는 듯한 비회전성 어지러움이 계속 돼서 여러 병원(신경과) 옮겨 다니며 치료 받아왔습니다. 다들 진단 내리신게 편두통성 어지러움이었습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머리 mri를 찍어보고 어지러움 관련된 검사를 다 해보았습니다. 검사 결과, mri는 별 문제가 없었고 자율신경계가 많이 약화되어 있다고 나왔습니다. 이비인후과에서 검사도 하고 진료도 봤는데 이상이 없었고 정신과, 안과에서도 이상 없다고 했습니다.

그 이후에 증상이 나아지지 않아 ct도 찍었는데 아래 사진처럼 이상이 있다는 소견과 함께 안구 운동 과 관련하여 발달이 덜 된 것 같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신경외과에 가서 진료를 보았는데 선천적으로 그렇게 된 것 같고 이게 어지러운 것과는 연관이 있다고 보기 어려울 것 같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결국 원인은 못 찾은채로 하던대로 약 먹었고 나아지는 듯했습니다.

근데 최근에 두 달간 주 5일 알바를 하면서 몸이 많이 안좋아졌습니다. 알바 도중에 미주신경성 실신도 올 뻔하고 평소에도 몸에 힘이 없었긴 했지만 팔 다리에 힘이 안들어가는 듯한 증상이 생겼습니다. 또한 이때부터 배 타고 있는 듯한 어지러운 증상이 생겨났습니다. 그러더니 최근에는 더 심해져서 서있거나 누워있거나 상관없이 배 타고 있는 느낌, 꿀렁거리는 느낌과 함께 아찔한 증상이 동반되고 몸에 힘이 없고 무기력합니다. 약이 안들어요… 또한 머리 말릴 때 머리를 건들이면 더 심해집니다… 알바 그만둔지 2주 다 되어가는데도 회복이 안돼요.

이것 때문에 휴학했고 곧 복학인데 정말 죽고 싶습니다... 할 일하는데 방해되고 부모님은 많이 나아지신줄 알고 이 문제에 대해서 많이 예민하셔서 더 심해졌단 이야기는 못하겠고.. 그래서 정말 절실하게 마지막이라 생각하고 도움 요청해봅니다….ㅜ

정말 ct에서 나온 이상 소견이랑 어지러움이랑 관련 짓기 어려울까요..? 그리고 왜 그런 걸까요..? 저체중(169.48)이랑도 관련이 있을까요? 의사 선생님께서 운동을 하라고 하셨는데 더 심해질까봐 운동할 엄두가 안나요. 이 상태에서 운동해도 괜찮을까요?

eyes-icon
개인 정보가 담긴 콘텐츠일 수 있어요.
질문의 내용을 확인하고
[사진 보기]를 눌러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CT 관련해서 더욱더 자세한 분석이나 새로운 시선을 원하시면 영상의학과 전문의에게 의뢰하셔야 합니다.

    여기선 글로 쓰신 내용 토대로만 답변 드릴게요.

    말씀하신 비회전성 어지러움, 배 타는 듯한 꿀렁거림, 몸에 힘이 빠지는 증상 등은 단순한 귀 질환보다는 자율신경계 이상, 중추성 원인, 혹은 기능성 어지럼증과 더 연관이 깊어 보입니다. 이미 MRI, 이비인후과, 안과, 정신과 등 다양한 검사를 하셨고 특별한 기질적 문제가 없었다면, 편두통성 어지럼증이나 자율신경 실조가 주요 원인으로 여겨지지만, 최근 나타난 배 타는 듯한 불균형감은 지속적인 피로 누적과 스트레스, 과호흡, 저체중, 그리고 기립성 저혈압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높아 보여요

    CT에서의 이상 소견(안구 운동 관련 미세 발달 문제)은 어지러움의 일부 보조적 요소일 수는 있어도 주된 원인으로 보기는 어렵다는 기존 설명도 일리가 있습니다.

    현재 상태에서는 무리한 운동보다는 체력 회복을 위한 가벼운 유산소 운동(걷기, 가벼운 스트레칭)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으며, 무기력감이 심할 땐 억지로 몸을 움직이기보다는 규칙적인 수면과 식사, 심리적 안정을 위한 루틴 회복이 우선입니다. 저체중은 자율신경계 불균형을 악화시키기 쉬우며, 혈압 조절에도 영향을 줄 수 있으니 체중 증가와 영양 관리도 꼭 필요하구요.

    약이 듣지 않는다는 건 현재 약물이 몸 상태에 잘 맞지 않는다는 신호일 수 있으니, 처방 조정이 가능한 신경과나 신경외과 재진료 및 상담을 권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