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깍듯한호랑이66
깍듯한호랑이66

코로나 백신 mRNA와 바이러스 벡터 각각의 항체 반응 과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내일 코로나 백신 화이자 또는 모더나 백신 1차 접종을 하게됩니다..

코로나 백신 1차 접종을 하기 전 여러 백신 종류와 그에 따른 항체를 주입해서 형성되는 과정을 알고 싶은데요..

화이자 또는 모더나(mRNA), AZ 또는 얀센(바이러스 벡터) 이 두가지 백신의 항체가 인체에 반응시키는 방식이 다르던데

상세하게 어떠한 방식으로 항체가 몸에 주입 되어 항체를 만드는지 궁금합니다..

상세한 답변 부탁드릴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내추럴한스라소니277
    내추럴한스라소니277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현승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질문자님께서는 백신 접종 후 항체가 어떤 원리로 만들어지는지 궁금하시군요.

    AZ, 얀센 백신의 경우 코로나 바이러스의 spike단백질을 아데노바이러스 단백질 껍질 안에 넣은 후 체내에 주입합니다.

    체내에 들어간 spike 단백질은 체내에서 항원으로 인식하여 면역반응을 일으켜 항체를 형성하게 됩니다.

    모더나, 화이자 백신의 경우 코로나 바이러스의 mRNA를 체내에 주입합니다.

    체내에 들어간 mRNA는 인체에서 번역되어 spike 단백질을 만들고, 체내 면역세포다 spike 단백질을 항원으로 인식하여 면역반응을 일으켜서 항체를 만듭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아스트로 바이러스내에 코로나 바이러스의 유전체의 일부를 주입해 아스트로바이러스 감염후 바이러스가 증식 하는 과정에서 코로나바이러스의 일부를 만들어내어 몸이 인식하게 하는 방식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화이자의 mRNA는 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정보인데, 이것이 우리몸에 들어가면 코로나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생산하게 됩니다. 그럼 우리 몸의 면역체계는 이 스파이크 단백질을 외부 물질로 인식하고 항체를 만들게 됩니다.

    바이러스 벡터 방식은 아데노 바이러스 안에 코로나 바이러스의 유전정보를 집어넣고, 이것이 우리몸에 들어오면 유전정보를 해독하여 단백질을 만들게 되고 이 단백질에 면역반응을 일으켜 항체를 생산합니다. 아데노바이러스의 경우 우리 몸에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바이러스 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전달하는 방식이 다른겁니다. 항체가 만들어지는 방식은 똑같습니다.

    화이자/모더나는 mRNA 백신이고, 얀센/아스트라제네카는 바이러스벡터 백신입니다. 얀센/아스트라제네카는 혈전이슈가 있습니다. 화이자/모더나는 심근염 이슈가 있습니다.

    화이자/모더나는 90%대, 얀센/아스트라제네카는 60%대 항체형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창윤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바이러스 백터 등을 이용하는 것은 일반 백신과 방법이 비슷합니다.

    다만, mRNA를 이용한 백신의 방식이 다르기에 그와 관련하여 자료 첨부하오니 참고 바랍니다.

    백신에 대한 새로운 접근

    mRNA 백신은 전염병에 대한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새로운 유형의 백신입니다.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백신은 대부분 약하거나 비활성화된 세균을 우리 몸에 넣습니다. mRNA 백신이 그런 방식이 아닙니다. 우리 신체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단백질 또는 단백질 조각 생성 방법을 세포에 가르치는 방식입니다. 항체를 생성하는 면역 반응은 실제 바이러스가 우리 몸에 들어왔을 때 감염되지 않도록 보호합니다.

    COVID-19 mRNA 백신 작용 방식 자세히 알아보기

    COVID-19 mRNA 백신은 "스파이크 단백질"이라고 부르는 무해한 조각을 만들도록 세포에 지시합니다. 스파이크 단백질은 COVID-19 유발 바이러스 표면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1. 우선, COVID-19 mRNA 백신은 상완 근육에 접종합니다. 지시(mRNA) 사항이 근육 세포 내부에 자리잡으면 세포가 이를 사용하여 단백질 조각을 만듭니다. 단백질 조각을 만들고 나면 세포는 지시 사항을 분해하여 제거합니다.

    2. 다음, 세포가 세포 표면에 단백질 조각을 표시합니다. 우리 면역 체계가 그 단백질이 거기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하여 COVID-19 자연 감염에서 일어나는 것과 같은 면역 반응을 일으켜 항체를 만들기 시작합니다.

    3. 그 과정이 끝나면 우리 몸은 향후 감염을 방어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다른 모든 백신과 마찬가지로 mRNA 백신의 이점은 백신 접종자가 심각한 COVID-19 증상을 일으킬 위험 없이 보호 기능을 생성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COVID-19 mRNA 백신 관련 팩트

    백신은 COVID-19 감염을 일으키지 않습니다.

    • mRNA 백신은 COVID-19를 유발하는 살아있는 바이러스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mRNA 백신은 어떤 식으로든 우리 DNA에 영향을 미치거나 반응하지 않습니다.

    • mRNA는 DNA(유전 물질)를 보관하는 세포핵에 절대로 들어가지 않습니다.

    • 세포는 지시 전달에 mRNA를 사용한 후 즉시 이를 분해해 제거합니다.

    출처: https://korean.cdc.gov/coronavirus/2019-ncov/vaccines/different-vaccines/mrna.html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변종석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화이자/모더나 : mRNA 백신으로 항체형성률이 높으나, 경미한 부작용 발생가능성 높습니다.

    2. AZ/얀센 : 바이러스벡터 백신으로 항체형성률이 약간 낮으나, 경미한 부작용 발생가능성 낮습니다.

    기존에 유행하던 코로나바이러스의 경우 회사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90%대 예방률이었습니다.

    델타변이바이러스가 유행하고서는 예방률이 낮아졌습니다.

    화이자의 경우

    1차 접종후 30%대후반 2차접종후 80%대후반

    모더나의 경우

    1차 접종후 60-70%대 2차접종후 90%대

    az의 경우

    1차 접종후 30-50%대 2차접종후 60-80%대 입니다.

    얀센의 경우

    1차완료후 5-60%대

    답변이 도움이 되셨을까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용한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스트라제네카의 경우 벡터를 이용한 백신이고

    주된 부작용은 혈소판감소 혈전증입니다.

    화이자나 모더나의 경우 mRNA를 주입하는 백신입니다.

    주된 부작용은 심근염입니다.

    얀센의 경우 벡터를 이용한 백신인데 한번만 맞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회사별로 말하는 예방률은

    모더나 - 1차 :70% 2차:90%

    화이자 - 1차: 30% 2차: 80%

    az - 2차 :60-80%

    얀센 - 60%

    백신 접종후 이렇게 예방률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어느 회사것을 맞든 백신을 접종하는게 중요합니다.

    그래야 집단면역이 형성될수 있습니다.

    답변남깁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강여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화이자와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은모두 같은 기전(mRNA 방식)의 백신이고,접종과 관련된 이상반응(심근염, 심낭염), 접종 횟수,예방접종의 효과 등의 여러가지 측면에서전반적으로 비슷하게 확인되고 있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의 코로나19 백신은모두 바이러스벡터 방식의 백신이기 때문에보관 방법, 백신 관련 이상반응(혈소판감소성 혈전증),그 외 여러가지 특징에서 화이자/모더나의 백신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현재는 델타변이 바이러스가 대다수 입니다.

    델타변이의 경우

    화이자1차접종시 30%대 예방률이고, 2차까지 접종시 80%대후반의 예방률입니다.

    모더나의 경우 1차접종시 70%대 ,2차접종시 90%대 예방률입니다.

    az의 경우 다른 두백신보다 효과가 조금 떨어집니다.

    2차까지 접종시 60%-80%대후반의 예방률입니다.

    얀센의 경우 60%대 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