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 기계식 주차장 80평정도, 습해서 선풍기나 닥트로 공기 순환을 하려고하는데.
안녕하세요.
기계식주차장이 지하로 들어가서 판에 물이 고여있습니다.
약 80평정도 되는 규모인데
물이 고여있는데 창문이 없어 제습기나, 공기 순환시설을 하라고 하는데
보통 지하에는 어떤 시설을 설치 많이 하는지 궁금합니다.
또 비용이 어떻게 될지.. 해보신분들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가장 많이 하시는 방법으로는 산업용 제습기 설치입니다. 80평 규모시라면 80-150리터급의 중형 산업용 제습기 1-2대 설치가 일반적입니다. 비용은 150-400만원 정도이며 임대시에는 월 20-50만원 정도 생각하시면 됩니다.
지하 기계식 주차장(80평) 습기 및 결로 해결 방법
지하 기계식 주차장은 외부 공기 유입이 어렵고, 온도와 습도가 높아 결로와 물 고임, 곰팡이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합니다. 아래에 실제 현장 사례와 제품 정보를 바탕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시설과 예상 비용, 설치 시 유의사항을 정리했습니다.
1. 지하주차장 습기/결로 해결에 많이 사용하는 시설
산업용 제습기
가장 확실하고 많이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외부 습도와 상관없이 실내 습도를 60% 이하로 유지하면 결로와 곰팡이 발생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습니다.
주차장 바닥, 벽, 천장에 결로가 생기는 경우에도 대형 산업용 제습기로 해결한 사례가 많습니다.
공기 순환용 대형 선풍기/환기팬
선풍기나 환기팬(행거팬, 롱팬 등)은 공기 정체 해소와 함께 습기 분산에 도움을 줍니다.
단, 외부 습도가 높을 때는 오히려 실내 습도가 올라갈 수 있으니, 비가 오지 않는 건조한 날에만 가동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제습기와 함께 사용하면 효과가 배가됩니다.
닥트(덕트) 환기 시스템
대형 지하주차장에는 덕트형 환기시스템도 설치합니다.
주로 배기가스 제거 및 공기 순환용으로 사용하며, 결로 해결에는 한계가 있으나, 습기 분산에는 도움이 됩니다.
2. 산업용 제습기 용량 및 설치 사례
80평(약 265㎡) 기준
권장 제습기 용량: 하루 150~300리터 제습 가능한 대형 산업용 제습기 1대, 또는 중형 2대 분산 설치.
예시: HC-DH315CAM/80평(최대 336리터/일, 소비전력 3.6kW), NED-210(210리터/일, 2,500W).
설치 위치
기계식 구조물 이동에 방해되지 않는 곳, 습기 발생이 심한 바닥이나 벽 근처에 설치.
배수로가 가까운 곳이면 자연배수형, 그렇지 않으면 자동배수형(펌프 내장형) 선택.
3. 예상 비용
구분 제품/용량 예시 가격(부가세 포함) 비고
산업용 제습기 80평용(336리터/일) 약 460~500만원 3상 380V, 3.6kW
170리터/일(100~120평용) 약 176만원 220V, 1.5kW
대형 선풍기 30인치 산업용 20~40만원 임대 가능
환기팬/행거팬 5,000~10,000㎥/h급 100~200만원 설치비 별도
제습기 임대도 가능하며, 월 10~20만원대(제품/용량에 따라 상이).
전기공사, 배수공사, 설치비 별도 발생할 수 있음.
4. 설치 및 운영 팁
제습기와 환기팬을 병행할 경우, 제습기 가동 시 환기팬은 꺼두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외부 습도 유입 방지).
주차장 입구 자동도어 설치 시, 외부 습기 유입을 막아 제습 효과가 극대화됩니다.
정기적 유지관리(필터 청소, 응축수 배수로 점검)가 필요합니다.
5. 결론 및 추천
80평 지하 기계식 주차장에는 대형 산업용 제습기 1대(300리터/일 내외) 설치가 가장 효과적입니다.
공기 순환용 대형 선풍기나 행거팬을 보조로 사용하면 습기 분산에 도움이 됩니다.
닥트 환기시설은 배기가스 및 일반 환기용으로 보조적으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예상 비용은 제습기 1대 기준 460~500만원(구매), 임대 시 월 10~20만원대, 선풍기/환기팬은 20~200만원대입니다.
실제 설치 사례와 비용, 유지관리 경험 등은 제습기 판매/임대 업체에 문의하면 현장 맞춤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참고로, 습기와 결로는 방치할 경우 주차장 구조물 부식, 차량 부품 손상, 미끄럼 사고 등 2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으니 빠른 조치를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