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대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출생률이 낮아지면 경제적으로 빈곤율도 낮아지지 않나요?

예를 들어 부부가 아이를 한 명만 낳는다고 했을 때 두 부모의 재산이 한 아이에게 상속되겠지요. 그 아이도 누군가를 만나 한 아이만 낳는다면 또 두 사람의 재산이 한 아이에게 상속될 것이고 이렇게 부가 소수의 사람들에게 모이는 구조로 간다면 이론적으로 빈곤율도 낮아지는 결과를 낳지 않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이대길 경제전문가
      이대길 경제전문가
      메리츠화재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당연히 그렇게 되겠지요

      그러나 수명이 늘고 있기 때문에 부부가 자녀에게 돈을 다 주지를 못합니다

      자녀에게 물려주기 전에 본인들이 죽을때까지 써야할 돈이 있겠죠

      적어도 부부합산 150만원이 있어야 합니다

      60세 은퇴 후 90세까지 살아야 한다면 30년을 벌이없이 벌어놓은 돈으로 살아야 하고요

      인간의 의료비의 대부분은 65세부터 사용됩니다

      80년대부터 출산률이 2명대로 내려왔고 지금까지 자산격차는 계속 늘고 있습니다

      지금은 자산격차가 60배라고 합니다

      버는 사람은 더벌고 못버는 사람은 더 못버는현상, 물가를 시급이 따라가지를 못하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출산율이.낮아지면 아무래도 고령화 사회로 전환되었을때

      나라의 복지정책 유지나 세금 관련 정책사업들이 어려워지겠죠 걷어지는 세금대비 지출이.더 많을테니까요

      그리고 부의 기준도 국가가 안전해야 유지가 되는거라서

      아무래도 국민인구수에 대한부분도 중요한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단순히 보면 그럴 수 있으나

      이 아이가 성장하여 두 부모를

      봉양해야하는 등 고령자만 사회에 다수가 있다면

      소비력도 약해지고 국가경제발전에도 어려움이 있을 수 있는

      부분도 상당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