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보험

저축성 보험

꿀오소리
꿀오소리

보험료를 자주 늦게 내면 어떻게 되나요?

보험료를 2회 미납하면 실효되는 건 아는데 혹시 보험료를 몇일 정도 자주 늦게 내면 어떤 불이익이 있나요? (미납이 아니라 납입일이 15일인데 20일에 내는 경우)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료의 납입은 날짜로 계산되어 납입하는것이 아니라 약정된 날짜에 이체가 되지 얗아도 다른 날짜에도 이체가 진행될 수 있으며 가상계좌로도 납입이 가능합니다 다만 이런방법으로도 2개월의 보험료가 미납되면 실효가 되며 계속 연체로 한달분의 보험료만 납입하시는 분도 있습니다 이런경우는 자칫 실효가 될 수 있어 관심이 필요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형석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료 납입일(예: 15일)에 보험료를 내지 않고 며칠 늦게(예: 20일에) 내는 경우, 하루나 며칠 정도 늦게 내는 것만으로는 별도의 불이익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보험료가 2개월 이상 미납되어 실효 상태가 되는 것이 주요 불이익 사유이며, 하루나 일주일 정도의 납입 지연은 일반적으로 문제되지 않습니다.

    다만, 자주 납입일을 늦게 하게 되면 향후 보험 가입 시 불리하게 작용할 가능성은 있으니 주의를 요합니다. 또한, 저축성 또는 연금보험의 경우 정해진 날짜에 납입하지 않으면 이율 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정시 납입이 바람직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강진영 손해사정사입니다.

    보험료를 늦게 내더라도 불이익은 없습니다.

    다만, 말씀하신 것처럼 보험료가 2회 미납되면 보험이 실효가 되어 보장이 되지 않으니, 그것만 조심하시면 됩니다.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민욱 보험전문가입니다.

    정확히는 2회 미납 후 3회차가 미납되었을 때 실효가 발생합니다.

    평소에 보험료를 몇일 늦게내는 것은 전~혀 문제가 되지않으나

    3회차 미납만은 밀리지않아야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료를 늦게 납부하면 연체이자가 부과됩니다. 일반적으로 연체일수에 따라 계산되며, 자주 늦게 내면 누적 이자가 부담될 수 있습니다. 일부 보험회사는 연체기록을 내부신용평가에 반영할 수 있고요. 특히 장기적으로 보험을 유지학거나 추가 상품 가입 시 불이익이 있을 수 있습니다. 보험금 청구시 연체이력으로 심사 과정에서 추가 서류 요청이나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험회사에서 계약 유지에 대한 경고 안내문을 발송할 수 있으며 반복될 경우 계약관리 대상자가 될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자동이체를 설정하고 급여일이나 자금사정에 맞춰 납입일을 조정해보시고 앱이나 문자 알림 서비스로 납입일을 놓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장재영 보험전문가입니다.

    네 2회 미납이면 실효가 맞습니다.

    실효란 미납월 이후 다음달에 실효가 되며

    최종 실효까지 보험사 별로 1~10일 정도 여유를 두는데 다 다릅니다.

    참고로 납입일이 15일인데 20일날 낸거는 미납이 아닙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하성헌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료의 실효는 미납이 2달 연속된 경우, 이며, 미납이 연속되지 않으면 실효가 되지 않습니다. 다만 이러한 보험의 납입기일이 지켜지지 않으면, 이는 주의 대상으로 리스트가 올라 갈 수 잇으며, 추후 보험금을 받을 때에도 지급되는 시기가 늦어 질 수 있습니다. 또한 보험을 통한 대출이나, 보험의 가입에서도 심사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동이체를 납입일보다 조금 당겨서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탁준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료를 납부할 때 며칠씩 늦게 내는 경우가 반복되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해하실 수 있습니다. 보험은 일반적으로 정해진 납입일이 지나더라도 납입유예기간(보통 30일) 안에 납부하면 보장 효력이 유지됩니다. 예를 들어 납입일이 15일인데 20일에 납부했다면, 이는 미납이 아니라 단순히 늦은 납부로 처리되기 때문에 보험이 실효되거나 보장이 끊기지는 않습니다.

    다만 이렇게 자주 늦게 납부하면 몇 가지 불편이나 불이익이 생길 수 있습니다. 첫째, 자동이체가 여러 번 실패하면 보험사에서 자동이체 기능이 해지될 수 있어 매번 직접 납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릅니다. 둘째, 은행이나 카드 자동이체 실패 기록이 누적되면 미세하지만 신용평가에 부정적으로 반영될 수도 있습니다. 셋째, 자주 늦다 보면 본인도 모르게 납부가 완전히 누락될 위험이 있고, 두 회 이상 연속으로 미납이 되면 보험이 실효되어 다시 부활청구 절차를 밟아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

    즉, 며칠 늦게 내는 것 자체가 큰 문제는 아니지만 반복되면 관리 소홀로 이어져 예상치 못한 불이익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저축성 보험의 경우에는 늦게 납부할 때 이자가 붙는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더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따라서 가능하다면 자동이체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거나, 보험사에 납입일 변경 제도가 있다면 본인에게 가장 여유로운 날짜로 바꾸는 것이 현명한 방법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지연 보험전문가입니다.

    그 부분은 염려하시지 않으셔도 됩니다.
    보험사 어플 들어가셔서 말경에 수납이 되었는지 예를 들어 2025.09까지 수납으로 보이는지 확인해 보시면 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태영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료를 며칠 늦게 내는 건 ‘미납’이 아닌 ‘지연 납부’로 간주되어 실효는 되지 않지만, 연체이자(하루 0.1%)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복적으로 지연되면 보험사에서 신용도 평가에 반영하거나, 추가 납입 조건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납입일 전에 보험사에 사전 연락하면 유예 가능한 경우도 있으니, 꼭 미리 이야기하세요. 납입일을 15일 말고 20일이나 말일 재지정하시기 바랍니다.

    1명 평가
  • 보험료를 자주 늦게 납부한다고해서 별다른 불이익은 없습니다.

    걱정할 일은 아니니 2달 미납만 되지 않게 납부하시면 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료를 며칠 늦게 내는 것은 바로 불이익으로 이어지지 않지만 자주 반복되면 연체 이력으로 인해 신규 보험 가입 심사 불이익, 자동이체 제한, 납입 관리 서비스 제한 등의 실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윤상호 보험전문가입니다.

    늦게 내도 전혀 불이익은 없습니다. 2회 연속으로 내지 못하면 실효가 되는 것이 유일한 패널티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은혜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료를 자주 늦게 내는 경우 고객님이 받으시는 불이익은 없어요

    다만 미납됐다는 연락을 받아서 번거로우실 수는 있어요

    자주 늦어질 듯하면 자동이체일을 변경하시는 건 어떠실까요?

  • 안녕하세요. 김동우 보험전문가입니다.

    아무런 상관 없습니다. 보험상품은 신용에 영향을 끼치는 상품이 아니기 때문에 늦게 납부를 한다고 해도 아무런 불이익이 없습니다. 당연히 보장도 계속 되는것이구요.

    도움이 되셨길 바래요~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