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늘씬한거위123
늘씬한거위123

좋은 알고리즘이란 어떤것일까요?

새로운 토큰이발행되고 새로운 알고리즘이 등장합니다.

라면을 끓일때 물을 먼저 끓인 후 라면과 스프를 넣고 그다음에 파를넣고 또그다음엔 계란을넣고 이것을 순서대로 해야 한다면 이런 절차가 라면조리의 알고리즘 이라 볼수있는건가요?

블록체인에서 의 알고리즘중 좋은알고리즘에 기준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힘찬살모사38
      힘찬살모사38

      좋은 알고리즘의 기준은 없습니다. 그런한 기준이 있는 것 또한 어불성설이라고 생각됩니다.

      알고리즘이 좋아도 서비스 유용성이 없다면 좋은 알고리즘이 아닙니다.

      블록체인 서비스 성공 여부로 판단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블록체인이 잘 돌아가고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정상적으로 트랜잭션이 발생하고 많은 사람이 찾는다면 그것이 좋은 알고리즘 이겠네요.

    • 제가 생각하는 좋은 합의 알고리즘이란 기존의 합의 알고리즘의 한계를 보완하고 극복해 나가려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요즘 단일 합의 알고리즘이 아니라 다중 합의 알고리즘, 즉 하이브리드 합의 알고리즘 방식을 채택하는 블록체인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는 이유도 이런 기존의 합의 알고리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 아닐까 합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물로서 최근 많은 관심과 투자를 받고 있는 블록체인 중 대표적인 예로는 코스모스의 텐더민트가 있습니다. 이 텐더민트는 비잔틴 장애 허용(BFT)와 위임된 지분 증명(DPoS) 방식의 알고리즘이 혼합된 하이브리드 알고리즘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텐더민트는 비잔틴 장애 허용의 한계와 DPoS 알고리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두 합의 알고리즘을 융합시켰는데요,

      1. 우선 DPoS의 경우 소수의 대표 노드가 빠르게 합의를 이루어 블록을 생성하게 되지만 해당 블록이 100% 최종성을 가진다고 보기에 힘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잔틴 장애 허용을 도입하여 먼저 빠른 합의를 도출한 후에 블록을 생성하고 즉각적인 최종성(Finality)을 부여함으로써 블록체인의 분기(folk)를 막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블록체인의 신뢰성과 보안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또한 DPoS 합의 알고리즘을 통해 노드 수 증가에 따른 BFT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고 검증인에 대한 지분 위임과 투표를 가능하게 하였습니다.

      2. 이처럼 단일 알고리즘으로는 각각의 한계나 문제점을 가지고 있지만 다중 알고리즘을 사용하게 되면 이러한 한계점을 서로 보완하여 더욱 빠르고 신뢰할 수 있는 합의와 블록 생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점이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따라서 앞으로도 이러한 새로운 방식의 하이브리드 합의 알고리즘이 계속해서 등장하지 않을까 예상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