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물리

달달한 너구리
달달한 너구리

차가운 물건에 손을 가져다대면 달라붙는 이유?

손에 물기가 없어도 차가운 물건에 손을 가져다 대면 순간적으로 손이 붙는데

왜 그런가요?

건조한 손인데도 순간적으로 얼어붙는 원리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향기로운병아리250
      향기로운병아리250

      안녕하세요. 김훈식 박사입니다.

      피부에 있던 물이 얼어서 물건에 달라붙게 됩니다.

      만약 물건의 표면에 얼음이 있더라도 손을 대면 순간적으로 얼음이 녹았다가 다시 얼면서 붙게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몸의 70%는 물로 이루어져있을 만큼 물이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영하이하의 물체를 갑자기 만지게 되면 손안의 수분이 함께얼어붙어 달라붙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차가운 부분때문에 우리 피부의 표피부분이 냉동되어 그렇답니다. 급작스럽게 차가운걸 만지면 피부가 일부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조심하세요!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차가운 물건에 수분이 있으면 빠르게 얼게 됩니다.

      손을 대게 되면 마찬가지 원리로 손에 있는 수분이 얼면서 본드처럼 붙어버리게 됩니다.

      우리 몸은 수분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건조해보인다고 하더라도 수분을 지니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건조하고 추운 겨울에는 차가운 물건에 손이 붙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공기중에 수증기가 거의 없긴 하지만 존재하고 있으며, 땀구멍이나 세포에서 수분이 조금씩 나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찬 물건을 만지게 되면 미량의 수분이 얼어붙어 달라붙는것이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