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미국이 금리 올리는걸 꺼리는거 같은데요
지금 미국이 금리 내리는걸 꺼리는거 같은데요
그렇다면 금리 를 올려야 될거같다는 말도 나오는데 우리나라도 따라서 금리올려야 하는거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은 현재 인플레이션 압력과 경제지표 호조 등으로 금리 인하보다는 동결 또는 소폭 인상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습니다.
- 물가가 여전히 높은 수준이어서 긴축기조의 유지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며 금리 인하의 필요성은 작아지고 있습니다.
다만 긴축 영향 가시화 등을 고려할 때 추가 인상 역시 제한적일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은행은 미국과의 금리차를 고려하되, 물가와 성장 등 국내 경제 여건을 종합해 판단해야 할 것입니다.
- 한미 금리차 확대로 인한 자본유출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합니다.
- 국내 인플레이션과 경기 흐름을 감안해 정책을 운용해 나가야 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는 것을 꺼릴 수 밖에 없는 것은 현재의 금리 자체가 2008년도 금융위기 당시의 고금리 상황이며 추가 금리 인상을 할 경우에는 경기침체의 우려도 있기 때문에 섣불리 판단하기 힘든 상황이에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같은 경우 미국과의 기준금리 차이가 현재도 상당한 등 이에 따라서
우리나라도 기준금리 차이를 줄여야 할 것이나 아무래도 가계부채 및 기업들간의 문제 등으로 인하여 이에 따라서 우리나라가 금리를 올리기 쉽지 않은 여건입니다.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은 금리를 내리고 싶어할겁니다. 다만, 경제 상황이 너무나도 좋아서 내릴필요가 없을정도입니다. 금리를 내린다는건 경기가 안좋은 징후가 보여서 유도성 확대를 위해 인하를 하는겁니다. 하지만, 현재 상황은 실업율도 낮고, 소비도 좋고, 모든게 좋아서 굳이 내릴필요가 없다고 해석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미국이 금리 내리는 것을 지연하고 있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연준이 금리를 내리기를 지연하는 것은 아직도 인플레이션이 심하기 때문으로
심지어 소수의 의견이었지만 오를 수도 있다고 합니다.
다만, 이는 소수의 의견이기 때문에 실제 실행될 지는 미지수이기에
한국의 기준 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것은 어렵다고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