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서성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고려시대 국가조직중에 상서성이라고 있는것으로 아는데요, 상서성은 어떤역할을 하는것인지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의 정무집행기관입니다.
982년(성종 1) 종래의 광평성을 폐지, 어사성을 설치했다가 995년(성종 14) 상서성으로 개칭했다고 합니다.
그 구성은 상서도성과 상서6부, 그리고 그 밑에 속사가 딸려 있는데, 성종 때 9개의 속사였다가 현종 때는 2사만 남게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상서성은 고려는 중앙 기구로 중서문하성과 함께 2성에 해당됩니다. 상서성은 집행을 담당하여 그 아래 6부로써 이부, 병부, 호부, 형부, 예부, 공부를 두어 해당 업무를 추진했어요^^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상서성은 고려시대의 정무집행기관으로 상서도성과 6부로 구성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상서성은 고려의 국가 행정기관입니다.
고려의 국가행정조직인 2성 6부제 가운데 2성의 하나로 중서문하성에서 재신이 정책을 의결하면 상서성은 정해진 규칙에 따라 일반 행정 업무를 수행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의 행정 체계가 2성 6부제였는데, 2성중 하나였습니다. 중서문하성에서 재신(宰臣)이 정책을 의결하면 상서성은 정해진 규칙에 따라 일반 행정 업무를 수행했습니다.
이 상서성 아래 6부가 있어 각 행정을 맡아서 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상서성은 982년(성종 1)태봉이래 존속해온 광평성을 개편한 것으로 개편 당시에는 어사도성이라 하였다가 995년 상서도성이라고 함으로써 고려의 3성체계가 완성되었습니다. 그 구성은 상서도성과 상서 6부 그리고 그 밑에 속사가 딸려 있었는데 성종 때 9개의 속사였다가 현종 때는 2사만 남게 되었습니다. 상서도성은 형식적으로는 상서성의 중앙기구이나 형식적 사무기구의 역할뿐이었으며 국정은 상서 6부의 기본으로 위로는 왕에게 직접아뢰고 아래로는 일반관서와 지방에 직접 명령을 내리는 관계에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