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조사료로 루핀시드를 수입하려고 해서 문의를 드립니다
인천항으로 호주산 루핀시드를 수입하려고 합니다
프레이크 가공처리가 되지 않은 생 루핀 시드를
타조용 사료로 요청받아서 진행하려고 하는 중입니다
정확한 hs코드와 통관시 절차를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분야 지식답변자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루핀씨드는(LUPINE SEED)는 HSK 1209.29-1000으로 특게되어 있으며 관세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따라서, 세금 부담은 없지만 사료관리법과 식물방역법 요건을 갖춰야 하므로 신고 및 방역 절차가 요구됩니다.
1. 관세율 : 무세
2. 수입요건
(1) 통합공고 - 사료관리법
사료용의 것은 사료관리법 제11조의 규정에 의한 규격에 적합한 경우에 한하여 수입할 수 있으며, 수입할 때마다 농협경제지주 대표이사, 한국사료협회장, 한국단미사료협회장에게 신고하여야 함
(2) 세관장 확인 - 식물방역법
식물검역기관의 장에게 신고하고, 식물검역관의 검역을 받아야 한다.(식물방역법 제10조에 따른 수입금지지역으로부터는 수입할 수 없음)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분야 지식답변자 박재성 관세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타조용 사료로 사용되는 루핀시드(Lupine Seed)는 HS CODE 1209.29-1000으로 분류됩니다.
사료용 식물의 경우 사료관리법 제17조 1항 및 동법시행규칙 제14조 1항, 사료검사요령 제24조 규정에 의거 수입신고대상 사료의 품목으로 한국단미사료협회 또는 한국사료협회로 수입신고하셔야 합니다.
또한 루핀시드의 경우 검역 대상에 해당되어므로, 수입 시 처음으로 도착한 수입항에서 식물 검역을 신청 후 검역을 받으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분야 지식답변자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사료용 루핀 종자(lupine seed)의 경우 HS CODE정보는 다음과 같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HS CODE : 1209.29-1000
관세율 : 기본관세 무세, WTO 협정관세 0% 적용
수입요건은 다음과 같이 규정되어 있습니다.
- 식물방역법
식물검역기관의 장에게 신고하고, 식물검역관의 검역을 받아야 한다.(식물방역법 제10조에 따른 수입금지지역으로부터는 수입할 수 없음)
- 사료관리법(사료자체로 사용되는 경우 해당 요건까지 수입요건으로 적용될 것으로 판단됨.)
사료용의 것은 사료관리법 제11조의 규정에 의한 규격에 적합한 경우에 한하여 수입할 수 있으며, 수입할 때마다 농협경제지주 대표이사, 한국사료협회장, 한국단미사료협회장에게 신고하여야 함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분야 지식답변자 Challie Y 관세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사료용의 루핀시드는 1209.29-1000호로 분류됩니다. 수입 통관 시에는 ‘식물방역법’상 식물검역관의 검역을 받아야 수입통관 할 수 있습니다.(통관 관세사 문의)
기본관세 : 무세
부가세 : 무세
Fight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