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연구진이 줄기세포를 사용해 제1형 당뇨병 환자를 치료 했다고 하는데요
안녕하세요
중국 연구진이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제 1형 당뇨병 화자를 치료하는데 성공을 했다고 하는데요 이때 사용된 줄기 세포는 어떤 종류 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중국 연구진이 제1형 당뇨병 치료에 사용한 줄기세포는 유도만능줄기세포로 알고 있습니다 이 줄기세포를 췌장의 베타세포로 분화시켜 인슐린을 생성하게 만든 것입니다.
중국 연구진이 제1형 당뇨병 환자를 치료하는 데 사용한 줄기세포는 주로 '줄기세포 유래 베타세포'입니다. 이 연구에서는 보통 다능성 줄기세포(Pluripotent Stem Cells)를 사용해 췌장의 베타세포로 분화시켰으며, 이러한 베타세포가 체내에 인슐린을 생성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다능성 줄기세포는 다양한 유형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 손상된 췌장 베타세포를 대신해 인슐린을 분비하게 함으로써 제1형 당뇨병 치료에 사용됩니다.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
우선 당뇨병 종류를 보면요.
1형당뇨병 : 췌장에서 인슐린생산세포를 자가면역세포가 파괴하여 인슐린을 거의, 전부 생산하지 못하는 상태
유아, 청소년기에 선천적 발병이 많으며 인슐린주사가 필수
2형당뇨병 : 인체가 인슐린저항성이 있어서 인슐린의 제역할을 못하는 상태거나, 인슐린 분비가 미약한 상태
주로 성인발병으로 , 비만, 운동부족, 유전적요인이 되지만 주로 후천적인 것이 많음
증상은 1형과 비슷하나 서서히 진행되는 점이 무서움
3형 당뇨병 : 임신중에 주로 발생, 임신성 당뇨로 알려짐
출산 후 원상태로 돌아가지면 , 그렇지 않으면 2형 당뇨병으로 진행됨
먼저 설명드렸던 1형 당뇨병은 아예 인슐린 생산이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는 예초에 췌장의 기능을 상실한 것인데 이를 되살려 인슐린을 분비시키는 수술을 한건데요.
환자의 췌도에서 추출한 세포를 유도만능줄기세포 iPS 로 만든다음에 이것을 환자의 복부에 이식하였습니다.
치료절차입니다.
1. 25세의 여성환자는 자가면역반응으로 인해 췌장의 인슐린분비기능이 마비된 상태의 당뇨병을 앓음
2. 환자 췌도에서 추출한 세포를 유도만능줄기세포로 만든 후 췌도 세포 150만개의 입체조직을 만들어 이식
3. 75일 이후 스스로 인슐린 생산이 시작되어 정상 혈당수치를 유지하고 있음
질문하신 유도만능 줄기세포 induced pluripotent Stem sells, iPSCs 는 성체의 체세포를 특정 유전자를사용하여
다시 분화되기전, 미분화상태로 되돌린 줄기세포입니다.
2006년 일본의 신야교수와 타카하시 박사에 의해 개발되었고 이 공로를 인정받아 2012년에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이 줄기세포의 특성과 응용입니다.
배아줄기세포와 유사하게 신체의 거의 모든 세포로 분화가 가능합니다.
윤리적인 이점이 있습니다. 배아를 파괴하여 얻는 배아줄기세포와는 다르게 체세포를 이용하기 때문입니다.
환자자체의 체세포를 이용하기 때문에 면역적으로 거부반응이 없습니다.
질병모델링 활용 : 특정 환자의 질병의 세포를 이용하여 질병 메커니즘을 분석
약물의 테스트 : 특정사람에게 테스트하는게 아닌 줄기세포를 활용하여 효능과 안정성을 볼 수 있음
재생의학의 관점: 손상된 조직과 장기를 대체할 수 있음
기존의 배아세포를 이용한 줄기세포가 논란이 된적이 있었지요... 황..교수님
그때와 다르게 윤리적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며 다양한 연구가 가능하기 때문에
앞으로 우리 사람의 수명이 더욱 연장될 수 있는 그런 중요한 과정에 있습니다.
논문을 봐야 정확히 알 수 있겠지만, 정확히 어떤 종류의 줄기세포를 사용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밝히진 않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우선 줄기세포는 크게 배아줄기세포, 성체줄기세포, 그리고 유도만능줄기세포(iPS 세포)로 나눌 수 있으며, 각각의 종류마다 특징과 장단점이 다릅니다. 그래서 연구마다 사용하는 줄기세포가 다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연구진마다 연구 목적과 접근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어떤 종류의 줄기세포를 사용하는지도 달라질 수 있는 것이죠.
또한 연구 결과가 아직 초기 단계이기에 상세한 내용이 공개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가능성 있는 줄기세포 종류는 약간 예상해볼 수는 있죠..
아마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는 인슐린 생성 세포로 분화될 수 있는 다능성 줄기세포입니다. 배아줄기세포나 유도만능줄기세포(iPS 세포)는 다양한 종류의 세포로 분화될 수 있어, 인슐린을 생성하는 베타 세포로 분화시켜 이식하는 연구가 상당히 많이 하고 있죠.
그리고 골수나 지방 조직 등에서 추출한 성체줄기세포는 비교적 안전하고 윤리적인 문제가 적어, 임상 연구에 많이 사용하는데, 이것을 이용했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