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을 한잔이라도 마시면 얼굴이 빨개집니다.
소주 한잔이라도 마시면 얼굴이 빨갛게 되는데요
주변에서는 아직도 술은 마시면 는다고 괜찮다면서 권유하네요.
정말 의학적으로 술은 마시면 느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술을 분해하는 효소가 더욱 활성화되어 말 그대로 술이 느는 상황이 만들어질수는 있지만, 타고난 분해력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그다지 많이 늘지도 않습니다. 알코올을 분해하는 능력이 떨어지면 몸에 1급 발암물질인 알코올과 아세트알데히드가 더 오래 머물게 되므로 음주는 가급적 피하시는게 안전합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술을 자주 마시는 사람들 사이에서 종종 듣는 말 중 하나가 "술을 마실수록 주량이 늘어간다"는 주장입니다. 이런 주장을 들으면서 주량이 실제로 늘어간다고 느끼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그러나 술을 먹을수록 주량이 증가한다는 주장은 몸의 생리적인 관점에서 보면 사실이 아닙니다.
주량은 알코올을 분해하고 대사하는 능력에 의해 결정됩니다. 알코올을 마시면 소화기관에서 일부 알코올이 흡수되고 혈액으로 이동합니다. 이후 알코올은 간에서 대부분 대사되며, 주로 알코올 탈수 효소(ADH)와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 효소(ALDH)를 사용하여 아세트알데하이드로 분해됩니다. 아세트알데하이드는 매우 독성이 높은 물질이므로 빠르게 분해되어 제거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ALDH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주량은 ALDH의 양을 늘리는 것이 아니라 몸이 어떻게 알코올을 처리하고 대사하는지에 관한 것입니다.
술을 자주 마시는 사람들은 뇌의 알코올에 대한 내성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술을 마셔도 이전보다 덜 취한다고 느끼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실제로 주량이 증가한 것이 아니라, 뇌가 알코올의 영향을 더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것입니다. 즉, 몸이 술을 처리하는 방법이나 속도는 그대로이며, 뇌의 내성만 높아진 것입니다.
알코올에 의한 주량의 변화는 술을 마실 때 주량이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술을 많이 마시면 알코올에 의한 유해한 효과가 증가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과도한 술 섭취는 간 손상과 같은 신체적인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며, 알코올 의존증의 위험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알코올 의존증은 주량이 늘어난 것이 아니라 알코올에 대한 심리적 및 생리적 의존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따라서 안전하고 건강한 음주를 위해서는 술을 적당히 마시고, 과음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과음은 신체에 유해하며 알코올 의존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만약 알코올 의존증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적인 질문은 아래 댓글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관련 전공이 아니라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
아시겠지만. 알코올 분해 효소가 부족한 분들이 우리 나라 전체 인구의 10% 정도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 분들은 술을 드시면 소량의 음주에도 얼굴이 빨개 지는 경우가 많고요 (물론 숙취도)
술을 계속 마시면 조금 느는 경우는 있습니다만..
굳이 시도하실 필요가 있을지 모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