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한국전쟁에서 유엔이 참전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유엔이 한국전쟁에 참전하기로 결정된 과정과 결정을 내리게 된 배경을 알려주세요. 유엔의 참전으로 인해 한국전쟁은 국제간섭 전쟁으로 전환되었나요? 유엔의 참전이 한국전쟁의 전개와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쳤으며, 이후의 국제적인 동향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 알고 싶습니다.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2차 세계대전으로 세계는 소련을 중심으로 한 동유럽 공산국가들의 WTO(바르샤바 조약기구)와 미국 영국 등 서방세계의 NATO(북대서양 조약기구)로 대결하는 냉전체제가 구축되었습니다. 이때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갑자기 김일성의 남침으로 시작된 한국전쟁은 UN상임이사국 중 소련의 불참으로 미국 영국 프랑스 중국(지금의 대만)의 찬성으로 UN군 즉 연합군의 참전이 승인되어 참전하게 되었습니다. 후에 김일성은 스탈린에게 UN안전보장이사회에 참석하여 반대표를 던지지 않은 것에 대해 격렬하게 항의하였다고 합니다. 한국전쟁은 단시일에 전투를 끝낼 수 있다는 김일성의 호언장담에 스탈린이 거듭 반대의사를 표명했다가 승인한 사항이었기 때문에 더욱 더 김일성에게는 연합군의 참전이 남침실패의 원인으로 생각하게 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