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를 풀거나 뛰어다닐 때 귀가 먹먹해지는 현상이 생기는데 왜 그런건가요?
한번씩 코가 막혀서 풀거나 아니면 운동을 위해서 뛰어다닐 때 가끔씩 귀가 먹먹해지는 현상이 생길때가 있는데 혹시 왜 그런지 아시나요?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중이와 목을 연결하여 중이 압력조절을 하는 이관 기능 장애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관이 제대로 열리지 않을 경우 중이 압력이 불균형해져 귀가 먹먹해질 수 있습니다. 코막힘, 알레르기 등으로 이관이 제대로 열리지 않으면 중이 압력이 불균형해져 귀가 먹먹해질 수 있습니다. 뛰어다닐 때도 압력 변화가 발생할 수 있고 이관 기능이 일시적으로 방해받을 수 있습니다. 코막힘은 이관을 통한 중이로의 공기 흐름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이관 기능 장애로 인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관(유스타키오관)은 코와 귀를 연결하는 기관으로, 공기 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감기, 알레르기, 비염 등으로 인해 코가 막히거나 점막이 부어오르면 이관이 제대로 열리지 않아 귀 내부의 압력 조절이 원활하지 않게 되고, 귀가 먹먹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운동을 할 때도 호흡 변화로 인해 이관 압력이 순간적으로 변하면서 비슷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박성민 의사입니다. 귀가 먹먹해지는 현상은 주로 귀 내부의 압력 변화 때문에 발생하는데요. 귀와 목을 연결하는 이관이라는 관이 있는데, 이관은 귀의 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해요. 코를 풀 때나 뛰어다닐 때 이관이 일시적으로 막히거나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귀 내부의 압력 조절이 어려워지면서 이런 먹먹한 느낌이 들 수 있어요. 이는 일반적으로 일시적인 현상이고 특별한 문제는 아닙니다. 그렇지만 귀 먹먹함이 계속되거나 통증을 동반한다면, 감염이나 다른 귀 질환의 가능성도 있으니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좋아요. 코가 막히는 경우에는 알레르기나 감기로 인한 코막힘 때문에 코 주변의 염증반응이 이관의 기능에 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 코를 자주 풀어야 한다면 실내 습도를 조절하거나 코 세척을 통해 코를 깨끗하게 유지하는 것이 도움될 수 있어요. 또한, 가벼운 운동 후에는 충분한 휴식을 취해 귀의 압력을 정상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상황이 더 지속되거나 심해지면 이비인후과 전문의와 상담해 보시는 게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코를 풀거나 뛰어다닐 때 귀가 먹먹해지는 현상은 귀와 관련된 압력 변화 때문일 가능성이 큽니다. 귀에는 내이와 외이를 연결하는 이관이라는 구조가 있는데, 이 이관은 중이의 압력을 외부의 기압과 같게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코를 세게 풀거나 빠르게 움직이는 활동을 할 때, 이관이 일시적으로 닫히거나 압력 변화가 생겨 중이의 압력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귀가 먹먹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코를 너무 세게 풀지 않도록 주의하고, 귀먹먹함이 지속되면 편안한 자세로 심호흡을 하거나 침을 삼키는 등 이관을 열어줄 수 있는 동작을 시도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