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트분석을 기본은 충실한데 어느것을 더 파볼까요?
차트분석을 엘리어트니 그물대니
피보나치니 등등 여러가지
기법들을 보면서 실대입도 해보고
과거차트보면서 이것거젓
해보는데 더좋은거있을까요?
차트를 마스터하고싶어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차트를 마지막까지 끌어올려 마스터 하는 방법은 결국 이론에서 벗어나 실전 적용입니다
가상의 투자라도 실제 증시가 움직일 때 모의투자를 하면서 내 생각과 실제가 맞았는지를
검증하는 단계가 필요합니다
이 과정에서 장이 끝난 이후 매매를 복기하는 과정도 반드시 필요하며 이러한 실전 경험 데이터를
바탕으로 차트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해가 가능해질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차트 분석을 마스터하려면 기본적인 기법들을 잘 익힌 후, 추가적으로 '볼린저 밴드'나 'MACD'와 같은 기술적 지표를 활용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가격 행동 분석'(Price Action)도 유용한 기법으로, 실시간으로 차트를 읽고 해석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차트를 더 깊이 이해하려면 '심리적 지표'와 '거래량 분석'을 통합적으로 공부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여러가지 주식 차트 기법이 있습니다.
엘리어트 파동이론(시장 심리 흐름 패턴을 가지고 파동을 분석)
볼린저 밴드(가격 변동성을 측정, 과 매매 상태 판단)
MACD(두 이동 평균선 차이를 보고 매매 신호 포착)
등의 차트 기법이 있습니다.
이를 더 공부하시면 주식의 숨은 실력자가 되 실 겁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차트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미 질문 속에 언급해주신 내용들만 잘 하셔도
어느 정도 차트의 마스터가 되있으셨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충분히 잘하고 계십니다.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차트 분석, 그거 단순히 몇 개 선 긋는다고 끝나는 게 아닙니다. 제대로 파고들려면 여러 가지 도구를 섭렵하고 자기만의 스타일을 만들어야죠. 핵심만 딱 짚어드리겠습니다.
우선 엘리어트 파동 이론, 이거 꽤나 심오합니다. 시장 움직임이 일정한 패턴을 반복한다고 보는데, 이걸 피보나치 비율이랑 같이 보면 꽤나 정교한 분석이 가능해집니다. 시장 심리까지 읽어낼 수 있다는 게 장점이죠.
피보나치 되돌림이니 확장이니 하는 것들은 지지선이나 저항선 잡는 데 아주 유용합니다. 특히 특정 비율들은 시장이 되돌아가거나 쭉 뻗어 나가는 중요한 지점이 될 때가 많아요. 과거 차트 보면서 실제로 어떻게 작용했는지 눈으로 익히는 게 중요합니다.
볼륨 프로파일은 좀 특이하죠. 가격대별 거래량을 보여주는데, 이걸 보면 사람들이 어느 가격대에서 많이 거래했는지, 즉 중요한 가격대를 알 수 있습니다. 다른 트레이더들이 뭘 보고 있는지 짐작할 수 있는 거죠.
좀 더 고급으로 가면 하모닉 패턴 같은 것도 있습니다. 이건 피보나치 비율 기반으로 만들어진 건데, 반전 시점을 예측하는 데 꽤나 정확도가 높아요. 다만, 딱 맞아떨어지는 패턴 찾기가 쉽진 않으니 꾸준한 연습이 필요합니다.
멀티 타임프레임 분석은 기본 중의 기본입니다. 큰 흐름은 일간 차트로 보고, 실제로 매매할 타이밍은 더 짧은 시간봉으로 잡는 거죠. 마치 망원경이랑 현미경을 같이 쓰는 거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치모쿠 클라우드는 딱 보면 좀 복잡해 보이는데, 추세 강도나 지지·저항을 한눈에 보여줘서 장기적인 흐름 파악에 꽤 도움이 됩니다.
레인코 차트는 시간 개념을 빼고 오로지 가격 움직임만 보여주는 건데, 시장의 잡음을 줄여줘서 깔끔하게 추세를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어떻게 공부해야 하냐고요? 당연히 실전 적용이 제일 중요합니다. 과거 차트 계속 돌려보면서 여러 기법들 적용해보고, 데모 계좌나 아주 작은 금액으로라도 실제 매매를 해봐야 자기 걸로 만들 수 있습니다.
책도 좀 보세요. 존 머피나 스티브 니슨 책은 이쪽 바닥에서는 거의 교과서 같은 겁니다. 온라인 강의도 요즘 잘 나오니까 찾아보는 것도 좋고요. 트레이딩뷰나 코이핀 같은 전문 툴을 써보면 훨씬 입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결국 차트 분석은 하나의 기술만 파는 게 아니라, 여러 기술을 융합해서 자기만의 무기를 만드는 과정입니다. 꾸준히 배우고, 실제로 적용해보고, 자기 매매 기록하면서 개선해나가는 수밖에 없어요. 엘리어트 파동이니 뭐니 하는 고급 기법들도 결국엔 꾸준한 경험이 쌓여야 비로소 자기 것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여러가지 차트 기법을 활용하고 계시는군요 ^^
말씀 하신 엘리어트, 피보나치, 이평선 어떻게 보면 기법의 문제라기보다 분석의 방식적인 문제 입니다.
차트 분석은 매수와매도세의 흐름을 끊임없이 분석하고 현재 상황을 체크 후 향 후 매매의 힘이 어디로 흘러갈 지 예상 하는 과정 입니다.
이를 위해서 우선 기본적으로 추세선/캔들분석/지지저항을 튼튼하게 익히 신 후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여러가지 보조지표들을 활용하고 엘리업트, ICT, Price action등 여러가지 기법들을 익히며 본인만의 트레이딩 기법을 만들어나가시길를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가격 상승 시 거래량 증가, 하락 시 거래량 감소는 추세 강화 신호입니다. 가격과 거래량의 불일치는 추세 전환 가능성을 암시합니다. 거래량 급증, 거래량 침체 등 특정 패턴은 시장 심리와 추세를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공포-탐욕 지수, 변동성 지수 등은 투자자들의 심리 상태를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시장 관련 뉴스, 소셜 미디어 트렌드 등을 분석하여 투자 심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합니다. 군중 심리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이를 역이용하는 전략을 연구합니다. 단기, 중기, 장기 등 다양한 시간 프레임의 차트를 함께 분석하여 추세의 일관성과 강도를 파악합니다. 각 시간 프레임에 맞는 거래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조합하여 시너지를 창출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차트 패턴인 삼중 바닥형 (역 헤드앤숄더), 이중 바닥형 (W자형), V자형 바닥형, 원형 바닥형, 상승 삼각형, 상승 박스권, 삼중 천정형 (헤드앤숄더), 이중 천정형 (M자형), V자형 천정형, 원형 천정형, 하락 삼각형, 하락 박스권 등도 심화해서 공부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