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달러 독주시 세계경제가 어떻게될지
영국의 부자감세 조치로인한 파운드화의 약세 러우전쟁으로인한 유로화의약세 일본 금리동결 엔화약세 어떤일이 일어나야 현제의 강달러가 멈출지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감사함니다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연준의 강한 금리정책등 인플레이션을 막기위한것으로 여러악재가 발생되어 나타나는 경제현상으로 보여지는데 어제의 시장은 파운드 하락에 따른 영향력이 크고 미국연준의 금리인상과 전쟁에 따른 에너지대란 우려등이 문제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을 비롯하여 전세계에 인플레이션이 잡혀
금리인상속도를 조절하게 되고
전쟁 및 중국의 경기침체 등이 해소되고 미래에 대한
각종 불확실성이 해소되어야 강달러현상이 해결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달러의 강세가 유지가 된다면 대부분의 국가들은 원자재 구입에 부담감이 가중될 가능성이 높으며,
원자매입 가격의 상승은 이 원자재가 실제 제품으로 생산되어 출하될 시기인 2개월에서 4개월뒤 시기에 그 국가의 인플레이션 상승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러한 달러의 강세는 미국의 독주 금리인상에 의해서 발생하고 있어 그 나라의 화폐대비 달러 환율을 낮추기 위해서는 기준금리 인상 혹은 일본과 같이 국가 주도의 달러대량매도 및 엔화매입이라는 정책이 필요하지만 일본의 경우는 현재 국민들의 소비자체가 없다보니 크게 재정 부담이 없는 상황이나 다른 국가들의 경우는 국가부채도 심각하며 일본만큼 달러 보유량이 많지 않은 상태(일본은 미국이 발행한 달러국채를 1조2천억달러를 가지고 있으며, IMF의 지분율도 3위로 언제든 달러를 가져올수 있습니다.)라서 일본과 같은 정책을 펼치기에는 무리가 있는 상황입니다.
결론적으로 미국의 금리를 쫓아가야지 환율을 낮출 수 있는 상황이라서 어제 우리나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기준금리 인상을 더 빠르게 진행하겠다는 의지를 전달했는데요. 하지만 우리나라 부채 수준이 심각하며 변동금리 비율이 높은 상황이라서 금리인상이 쉽지는 않은 상황입니다. 이러한 구조를 알고 있기에 시장에서도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의 말을 다 믿지 않고 달러가 진정되지 않는 상태로 보입니다.
내년 상반기에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어느정도 중단이되고 내년 중반쯤이 되어야 다른 국가들이 미국의 금리를 다 쫓아가면서 환율이 진정될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좋은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