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적 기업의 정의와 기준이 궁금해요.
논문이나 여러 책들을 읽다 보면, 다국적 기업이라는 말이 나오던데,
다국적 기업은 여러 나라에서 장사? 사업?을 하는 기업인가요?
그럼 삼성이나 엘지와 같은 기업도 다국적 기업이라고 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과 LG는 명실상부한 다국적 기업이며 다국적 기업=은 단순히 여러 나라에서 사업을 하는 기업을 넘어서, 본국 이외의 두 개 이상 국가에 해외직접투자를 통해 생산시설, 자회사, 연구개발센터 등을 직접 소유하고 운영하는 기업을 의미합니다. 핵심은 해외 사업체에 대한 소유권과 경영 통제권이 있느냐는 점입니다. 이것이 단순히 제품을 해외로 수출하는 기업과 다국적 기업을 구분하는 결정적 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구체적으로 수출기업은 본국에서 제품을 생산하여 해외로 판매하지만, 해외에 직접적인 사업 거점이나 자산을 소유하지 않습니다. 반면 다국적 기업은 해외에 공장, 판매법인, 연구소 등을 직접 설립하고 운영하며, 각국의 법률과 규제 하에서 현지 사업을 전개하는것으로 이해 하시면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본국 외 복수 국가에 자회사, 지점, 생산거점, 매출 네트워크를 가진 기업을 말합니다. 해외 매출, 자산, 고용비중이 높을 수록 다국적성이 강합니다. 삼성,LG처럼 제조, 판매, R&D가 여러 나라에 퍼져 있으면 전형적인 다국적 기업입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다국적 기업은 사업 범위가 2개국 이상 해당되고 직원도 2개국 이상 분포할 경우를 다국적 기업이라고 칭합니다. 삼성과 엘지 등 당연히 다국적 기업에 속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다국적 기업의 정의에 대한 내용입니다.
다국적 기업이란 본사를 특정 국가에 두고 있지만
동시에 두 개 이상의 다른 나라에 자회사, 생산 공장, 혹은 판매 지사 등을
설립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다국적 기업은 둘 이상의 나라에서 활발히 영업 활동을 펼치는 기업을 의미합니다. 단순히 물건을 파는 것을 넘어, 해외에 직접 투자를 해서 생산 시설이나 사업 거점을 만들고, 전 세계 시장을 하나의 무대로 보고 통합적인 경영 전략을 펼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다국적 기업은 본사가 특정나라에 있으면서 여러 다른 나라에 판매나 투자, 생산기지 건설, 연구개발 등의 영업 및 경영 활동을 하는 기업을 말합니다.
삼성이나 LG 등 대기업들이 다국적 기업에 해당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다국적 기업의 경우 전세계 여러나라에서 영업등을 하지만 본사가 특정한 나라에 있어 전세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기업을 다국적기업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상황에 삼성전자와 엘지도 다국적기업으로 본사가 국내에 있으며 해외의 지사를 통해 지속적인 수익을 내기 때문입니다.
다국적 기업은 여러 국가에서 생산과 경영, 판매까지 직접 수행하는 기업을 말합니다.
삼성이나 Lg 같은 글로벌 대기업은 대표적인 다국적 기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