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화재시 사용하는 임도를 만들면 우리나라 지형에는 산사태를 유발할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2025년 경상북도쪽에서 발생한 산불로 인하여 임도의 중요성이 제기되었는데요. 우리나라 지형에서 임도를 잘못 만들면 산사태의 우려가 있다고 하는데 정말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임도는 산불이 발생했을 때 소방차나 인력이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방화선 역할도 할 수
있어서 산불 확산을 막는 데도 유리합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전체 국토의 70%가 산지입니다. 특히 급경사 지형에서는
임도를 개설하면서 흙을 깎고 절토(절개)하거나 땅을 메워 성토하게 됩니다. 이런 구조는 비가 많이 오면 쉽게 붕괴되거나
토사 유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산불화재 시 사용하는 임도는 우리나라 지형 특성상 산사태를 유발할 위험이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산이 많고 경사가 가파른 지형이 대부분인데, 임도를 건설하려면 산의 비탈면을 깎아내거나 메우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이 과정에서 자연적인 지반이 교란되어 불안정해지고, 물이 흐르는 경로가 바뀌거나 임도 자체로 물이 집중되어 지반이 약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임도 건설을 위해 나무나 풀 등 식생을 제거하면 흙을 잡아주는 힘이 약해져 토사 유실이 쉬워집니다.
따라서 임도를 지형에 맞게 제대로 설계하고 비탈면 보강 및 배수 시설을 잘 갖추지 않거나, 관리 상태가 부실하면 임도가 산사태의 원인이 되거나 위험을 키울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친환경 공법이 적용되기도 하지만, 우리나라 산지 특성상 임도 건설이 산사태 위험 증가와 완전히 무관하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