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치과 이미지
치과건강상담
치과 이미지
치과건강상담
자유로운밀잠자리229
자유로운밀잠자리22923.08.07

치아 밑부분에 파이는 증상이 원인이 뭘까요?

얼마전에 치과를 갔는데 차이 밑부분이 파여 있어서 이것을 매꿔야 치아가 안부러진다고 들었습니다. 제가 눈으로 보기에도 파여있는건 맞는것 같은데 정확한 원인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또 이것을 레진이나 이런것으로 매꿧을때 시림증상이나 부러지는것을 방지 할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07

    안녕하세요. 김주혁 치과의사입니다.


    칫솔질을 강하게 자주 하는 경우 치아 아래 부분이 마모되는 증상이 발생하기 쉬우며


    이를 방치 시 충치, 시린이, 치아 파절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레진을 사용하여 충전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입니다.

    잇몸이 내려가면서 치아의 뿌리가 노출되는경우가 잇고, 딱딱한거나 양치를 자주 해서 치아의 뿌리가 노출되는경우가 잇습니다. 시린증상이 잇다면 레진으로 메꾸는 치료를 해주셔야됩니다.


  •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치아 밑이 파여 있는 경우 치경부 마모증으로 보이며, 양치시에 수직방향으로 위아래개 아닌 수평으로 양치시에 치경부가 마모될수 있으며, 레진으로 메꾸는 치료시에 시린증상완화에 도움이 되나, 근본적으로 올바른 양치질 방법으로 양치를 해야 재발을 방지할수 있습니다.

    궁금증 해소에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도움이 되신 경우 ‘추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치과의사입니다.

    단단한것을 자주씹으시거나 잘못된 양치질로 인해서 생길 수 있습니다. 레진치료가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치아의 잇몸부위가 파이게 된다면. 온도변화에 의해 치아의 신.경에 자극을 더 받을수 있기 때문에 시린증상이 생길수 있습니다.

    마모증이라고 불리우는데 마모증은 치아에 너무 강한힘이 가해.져서 탄성에 의해서 휘면서 생기거나 칫솔질을 너무 세게 해서 치아마 마모가 생기게 됩니다.

    칫솔질을 할 때 치아가 난방향으로 약하게 하시고 치아.에 가해지는 힘을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너무 시리거나 하면 치과재료로 충.전을 할 수 있어요.

    레진이라는 치과재료는 보험적용이 안되기. 때문에 병원마다 .비용에 차이가 있는데 보통 5~10만원정도 하고 있습니다.

    GI란 재료는 보험이 적용되기 때문에 1만원내외의 비.용이 나옵니다.

    정확한 확인을 위하여 치과에서 자세한 진료를 .받아보시길 권장 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치아를 사랑하고 아끼는 치과의사 최석민입니다.

    해당 증상은 마모의 굴곡파절 현상일 수 있습니다. 치아 밑부분 잇몸과 가까운 부분을 치경부(치아의 목 부위)라고 하는데요

    치경부 병소 중 마모인 경우 원인은 가로로 칫솔질을 해서 그렇습니다. 칫솔질 방법 변화가 필요하고 패인 부분은 레진으로 채워주면 됩니다.

    반면 굴곡파절의 경우 교합 문제인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굴곡파절로 인한 패임의 경우 레진으로 메워주고 교합조정도 해주어야 재발하지 않습니다.

    우식(충치)이 없는 경우도 있으나 우식이 동반되면서 파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경우 치료가 크게 달라지지는 않고 우식 부위를 제거하고 레진으로 채워넣습니다.

    치경부가 패여 이걸 레진으로 채워주면 시린 증상이 다소 개선될 수 있습니다. 치아가 부러지는 것 또한 어느 정도 막을 수 있으나 정도에 따라서 신경에 근접하여 깊게 패인 경우 신경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치과에서 치아가 부러지는 것을 언급한 걸 보면 꽤 깊게 패인 것 같은데 이런 경우에는 신경치료의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채워넣는 재료도 반드시 레진으로 해야하는 건 아닙니다. 레진이 치아색이 나는 재료라 선호될 뿐 보험되는 저렴한 재료(GI, cention)를 이용하셔도 됩니다. 다만 이런 재료는 치아색과 다소 차이가 나는 단점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