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고매한크낙새25
고매한크낙새25

식목일은 왜 이제 빨간날이 아니게 됐나요?

옛날에는 빨간날이었습니다. 환경 보존을 위해 나무를 심자고 지정해놓은 날이요. 근데 이제는 아니게 됐는데 왜그런건가요? 나무 안심어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공휴일로 지정된 식목일에 발생한 사건들로 인해서 공휴일 폐지에 이르게 된 것으로 보여집니다.

    불 피우지 말고 찬 음식만 먹자는 한식에 놀러가서 취사하고 담배 피다 나무 심자는 날에 산불을 내는 경우가 있어왔습니다. 결정적으로 담뱃불로 인한 실화로 추정되는 2005년 양양 산불에 낙산사가 전소되고 동종이 소실되는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또한 이 무렵 노무현 정부가 주 5일 근무 제도를 공공기관부터 보급하자 그 반동으로 인해 생산성 저하를 우려로 공휴일을 줄이자는 움직임이 생겨나서 이와 맞물려 결국 제헌절과 함께 2006년부로 식목일이 공휴일에서 제외되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식목일이 국가 공휴일이 된 것은

    6.25전쟁 때문에 전 국토가 말그대로 황무지가 되어서

    정말 심각하게 녹화작업을 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국민들 힘이라도 빌리려고 이승만 정부가 지정한 것 입니다

    현대에도 환경보존은 물론 중요하고, 지구 온난화 문제가 있는 만큼 더 신경 쓸 필요가 있지만

    아파드 단지마다 작은 공원이 하나쯤은 있는 한국은

    전 세계적으로도 녹화사업이 매우 잘 되어 있기 때문에

    더 이상 사람이 직접 나무를 심을 정도로 다급하진 않고

    오히려 나무 심겠다고 산에 놀러가서 산불 내는 경우가 늘어나서

    공휴일에서 제외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2005년에 우리나라에서는 공공기관 주 40시간 근무제가 도입되었는데, 이로 인해 일하는 날이 줄어 생산성이 저하될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습니다. 이로 인해 식목일이 공휴일에서 빠지게 되었고 지금 까지도 이로인해 식목일은 공휴일에서 빠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담뱃불로 인한 실화로 추정되는 2005년 양양 산불에 낙산사가 전소되고 동종이 소실되는 사건이 일어났고 이 무렵 노무현 정부가 주 5일 근무제도를 공공기관부터 보급하자 그 반동으로 생산성 저하를 우려로 공휴일을 줄이자는 움직임이 생겨나서 이와 맞물려 제헌절과 함께 2006년부로 식목일이 공휴일에서 제외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