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오늘배움
오늘배움

'중립금리' 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뉴스를 보다 보니 '중립금리'라는 표현이 있더라구요.

어떤 금리를 말하는 것인지, 어떤 의미인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중립금리라고 하는 것은 경제성장에서 인플레이션이나 혹은 디플레이션의 압력이 없는 잠재성장률의 수준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이상적인 금리를 말하는 것이에요

  • '중립금리'는 경제 운영 주체인 중앙은행이 통화정책을 수행할 때 기준이 되는 이자율을 말합니다. 중립금리는 경제가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인플레이션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적절한 이자율 수준을 의미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 압력이 없는 잠재성장률 수준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 이론적 금리수준을 말합니다. 정책적으로 경기부양 정책이나 경기과열에 다른 인플레이션에 대비한 긴축정책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물가상승률과 잠재성장률 그리고 정책금리와 실질금리 사이의 스프레드 등을 감안하여 중립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중립금리는 경제적 상황에 따라 달라지게 되므로 이론상으로만 존재하며 정확한 실제금리가 나오는 것이 아닙니다.

  • 중립금리는 경제가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 압력이 없는 잠재성장률 수준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 이론적 금리수준을 의미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 중립금리는 인플레이션을 압박하지 않으면서, 경기를 너무 과열시키지도 너무 냉각시키지도 않을 수 있는 수준의 금리를 뜻하며 현재 우리나라의 기준금리가 이 중립금리 수준이라고도 볼 수는 있겠습니다.

  • 중립금리는 경제가 균형을 이루고 국내물가가 안정화되며, 고용과 경제활동이 최적 상태에 도달했을 때의 이자율 수준을 가리킵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경제가 정상화된 상태이며, 인플레이션의 압력이나 경기의 침체가 없는 상황을 가정합니다.

    현실적이기 보다는 이상적인 상황을 말합니다.

    중립금리는 통화정책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며, 중앙은행이 경제를 안정시키고 가격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목표로 삼는 경제적 균형 상태를 나타냅니다.

  • 중립 금리란 물가 상승이나 하락 압력 없이 잠재적 경제성장률을 달성할 수 있는 이론적 금리 수준을 의미합니다.

    명목 중립금리와 실질 중립금리를 구분해서 사용하며, 명목 중립금리= 실질 중립 금리+ 물가 상승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