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대한민국 내수시장이 박살난것같습니다
저희는 수입수출로 먹고사는 나라로 환율도 높고 물가도 높은데, 정치적으로까지 큰 일이 있으니... 이번주가 지나고 정치적 문제가 해결이된다해도 다시 일상으로 돌아오는데 어느정도 걸릴거라 예측하시나요?
임장을 다니다보면, 망한곳부터 공실이 너무 많아 충격을 받곤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일상으로 다시 돌아오려면 정부가 제대로 서고 경제 부양 정책등을 발표해야 합니다
하지만 지금의 정부는 거의 무정부 상태로 국민들이나 내수시장이 박살나는 것을 지켜보고만 있습니다.
그 결과 이러한 내수시장 침체를 불러왔기 때문에 추후 다른 정권이 들어설 때까지는 이러한
악재가 지속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
수년이 걸릴것으로 보여집니다. 당장 해결될수 있는 부분이 아닙니다. 25년 경제 성장율도 1% 후반대, 26년도 1% 후반으로 전혀 나아지지 않고 있습니다. 이는 국내 내수 소비 축소로 이어저 지속적인 경기 침체 상황을 기록할것으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시장경제는 한번 무너지게 되면 다시 정상화되는 데 상당히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됩니다. 가계의 얼어붙은 소비 심리가 해소되기에는 물가가 안정 되야 하며 시장경기가 활성화 되야 하므로 시장에 유통되는 화폐량을 늘려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내수시장 박살의 가장 큰 요인중하나가 윤정부가 들어서고 나서 데이터로 정부지출이 크게 줄었고 인프라나 건설 인허가수 감소 고금리 영향이 같이 영향을 미쳤습니다
즉 내년도 윤정부가 바뀌고 정부지출이 다시 늘어나고 건설투자가 증가하고 시장금리인하추세와 중앙은행의 유동성이 증가하면 내수시장이 다시 살아날수 있는 키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상반기 부터 이어진 대한민국 내수의 경기침체와 가계부채 증가로 어려움이 많은 상황이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경기 성장을 위해 금리인하등 조치로 부양정책을 했었으나 이번 비상계엄령으로 인해 증시든 경제든 외국이 자본이 이탈되고 투자도 둔화가 된 상황입니다.
현재 정치적인 이슈를 우선적으로 해소하고 글로벌 경제 상황이나 시장 흐름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한국 내수시장이 어려운 상황에서 정치 문제가 해결되도, 경제 회복은 시간이 걸립니다.
특히 물가상승과 환율상승. 공실 문제는 단기간 해결은 어려운 문제입니다.
회복속도는 정부의 정책,. 외부경제 상황에 달려있지만, 일상으로 돌아가는 데는 몇 달이상 소요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