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유능한콜리216
유능한콜리21623.03.20

선진국의 기준은 어떤 것으로 결정되는 건가여?

옛날에는 다른 나라 사람들이 한국이 이렇게 성장할거라고는 생각을 못했잖아요 근데 지금은 한국이 선진국이잖아요 혹시 선진국이라고 정하는 기준이 있나요? 아니면 수치를 기준으로 잡아서 어디까지는 선진국이리고 하나욮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선진국"이라는 용어는 국가 경제의 발전 수준과 사회적, 기술적, 문화적 등의 요소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하지만 이 용어에 대한 공식적인 정의는 없으며, 각 나라마다 상황에 따라 다르게 평가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선진국이라고 여겨지는 나라는 경제적으로 발전된 나라이며, 고도의 기술력과 인프라를 갖추고 있으며, 교육 수준이 높고, 사회적 안정성과 인권 등의 가치를 보장하고 있는 나라입니다. 또한, 선진국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국가의 개방성, 혁신성, 안정성 등도 평가 기준이 되며, 국가 간 경쟁력과 상호 의존성 등도 고려될 수 있습니다.

    국제 기구에서는 OECD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을 대상으로 선진국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IMF (국제통화기금) 등에서는 국가의 GDP, 인플레이션, 실업률, 수출입 등의 지표를 기준으로 개도국, 신흥국, 선진국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선진국과 관련하여 명확히 기준을 정해둔 것은 없습니다. 다만 통상적으로 소득수준이나 해당국가의 문맹률등을 기준으로 삼는데, 해당 국가의 국가의 소득이 고소득국가(1만 2,476달러이상)로 인정되고, 해당 국가의 무역개방성 및 금융개방성등을 고려하여서 선진국으로서의 고려를 하게 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2021년 7월 68차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에서 195개국 만장일치를 통해 기존 '개발도상국 그룹'에서 '신진국 그룹'으로 변경하게 되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선진국을 나누는 기준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는 경제, 기술, 인프라, 사회복지, 교육, 보건 등의 분야에서 높은 수준의 발전과 성취를 보이는 국가를 의미합니다.

    경제적으로는 국내총생산(GDP)이나 개인소득 수준, 무역 및 투자 등의 경제활동에서 대규모의 성장과 안정성을 보인 국가가 선진국으로 평가됩니다.

    기술적으로는 과학기술 분야에서 높은 연구개발(R&D) 지출, 혁신적인 기술 발전 및 산업 혁신 등이 있습니다.

    인프라와 사회복지 측면에서는 교통, 통신, 전력 등의 인프라 구축 및 향상, 국민 건강, 교육, 복지 등의 분야에서 선진적인 사회 체제와 제도를 갖춘 국가가 포함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선직국의 기준은 경제 성장률을 기준으로 보기도 하구요
    WTO에서의 선진국 개도국 최빈국을 결정하는 기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