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총명한노루103
총명한노루10322.10.26

경제가 언제쯤 회복될수이을가요?

세계 경제가 언제쯤 안정화 될수있을련지요.... 대출금리는 무섭게 오르고있고 월급은 그대로고...집도사고 뭐 해야될게 많은데 언제쯤 경제안정화 찾을수 있을련지 궁굼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금 세계시장은 인플레이션의 공포가 가장 극심하고 중국의 경우는 부동산 버블로 인한 인플레이션과 미중 무역전쟁으로 인한 앞으로의 피해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미국의 경우는 지난 코로나시기 너무 많은 국채발행으로 인해서 재정수지가 좋지 않은 상황에다가 인플레이션마저 극심한 상황입니다.

    제가 유럽, 중국, 미국의 상황이 좋지 않다는 것을 말씀드린 이유는 우리나라의 수출 90%이상이 3지역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 3나라의 경기침체는 곧 우리나라 수출실적의 하락을 의미하게 되며, 특히나 미중무역전쟁으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우리나라에게 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게다가 더 좋지 않은 것은 미국이 재정수지 적자를 줄인다는 명목으로 IRA법, 반도체법, 바이오법을 시행하였고, 이러한 정책은 결국 자국보호주의 성격에 가까워 우리나라의 삼성전자나 현대차, 기아차에게 큰 타격을 줄수 밖에 없습니다. 이에 더해서 결국 대기업들의 생산기지를 미국으로 이전하게 될 경우에는 우리나라의 제조생산설비가 미국으로 넘어가게 되고 이는 곧 협력업체들의 실적감소 혹은 도산, 대량 실직이 발생할 가능성도 높다는 것입니다.

    만약 내년부터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면 지금 PF대출 부실화, 금리인상으로 인한 개인들의 부실화, 태양광대출들의 부실화, 우리나라 국가의 부채수준이 매우 심각한 상황임을 고려한다면, 최소한 2년에서 3년은 경기가 좋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보이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한다면 최소한 2024년도 하반기쯤이나 되어야지 어느정도 경기가 회복되는 모습을 보일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상황을 고려한 판단이다 보니 제 개인적인 바램은 더 빠른 경기회복이되길 바랍니다.

    좋은하루 되시고 화이팅 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0.27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022년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전망치 대비 1.1%p 하향조정하여 3.5%로 전망하고, 2023년 세계경제 성장률은 3.6%로 전망됩니다. 우크라이나 러시아 전쟁은 공급망을 교란하고 수급불균형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압력을 더욱 확대하며, 코로나19 이후 경기회복과 물가안정 사이의 상충관계에 직면해 있는 통화당국의 어려움을 가중시키면서 경기회복세를 둔화될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당분간은 전세계적인 인플레이션 등으로 인하여

    금리인상이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하여 원자재

    공급 등의 불확실성과 가격 급등으로 인하여 경제가 내년

    에도 힘들지 않을까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