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바이트생 4대보험세금 보통 몇퍼센트인가요?
안녕하세요 현재 알바를 하고 있습니다
다름이아니라 업장에서 알바비에서 4대보험세금을 제하고 알바비를 주었는데 이 금액이 맞는가 싶어서요 ..
인터넷에 보통 급여의9%를 제한다고 하는데 이 9%가 오로지 알바생이 부담해야하는 건가요?
업장은 고기집이며 근로자수는 직원,알바 포함 14명 내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병우 회계사입니다.
4대보험을 합치면 약 9%입니다. (국민연금 직원분 4.5%, 건강보험 약 3.3%등)
이외 소득세가 있습니다. 통상 3.3%를 공제합니다.
합치면 13퍼센트 수준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자성세무회계 김성은 세무사입니다.
근로자의 4대보험료는 근로자와 사업주가 50%씩 부담합니다. (산재보험은 사업주 100%부담)
근로자 부담분의 요율은 국민연금 4.5%, 건강보험 3.545%, 장기요양 0.454%, 고용보험 0.9% 입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웅주 세무사입니다.
4대보험의 경우 국민연금 9% 건강보험 7% 을 절반씩 부담하고 고용보험 근로자 부담분 0.9%, 산재보험 업종에 따른 요율이 부과됩니다.
안녕하세요. 남궁찬호 세무사입니다.
사대보험 근로자의 경우 본인 급여의 약 10%가 사대보험과 소득세, 지방소득세로 공제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었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고대철 세무사입니다.
9% 정도면 오로지 알바생이 부담하는 정도 맞습니다.
국민연금 4.5%, 건강보험 약 4%, 고용보험 0.9% 하면 9.4%니까요.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아르바이트 여부와 관계없이 4대보험의 4대보험료 원천징수세율은 약 9%가 맞습니다. 이외에 소득세와 지방소득세도 원첝이수가 됩니다. 급여의 약 20%가 보험료이며 이중 회사가 반 을 납부하고 나머지 반을 근로자가 납부하는 것입니다.